정리해고-휴폐업-임시직 종료 등… 일하고 싶지만 퇴직, 5년만에 최대 세금으로 만든 일자리 늘면서 60대이상 취업자는 1년새 50만명↑
16일 추경호 자유한국당 의원실이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바에 따르면 지난해 퇴직한 40, 50대 중 비자발적으로 일을 그만둔 사람은 48만9000명이었다. 유럽발 경제 위기의 여파와 부동산 침체 등으로 경기가 부진했던 2014년 55만2000명 이후 5년 만에 가장 많았다.
비자발적 퇴직자는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직장의 휴·폐업 △명예·조기퇴직이나 정리해고 △임시·계절 업무 완료 △사업 부진 등의 4가지 사유를 퇴직 이유로 답한 경우다. 직장에서 나온 후 그해 12월 조사 시점까지 실직 상태인 사람이 해당된다.
비자발적 퇴직자는 40, 50대에선 늘었지만 전 연령대를 놓고 보면 오히려 줄어 고용 부진이 40, 50대에 집중됐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지난해 40, 5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1년 전보다 3만1500명 증가했다. 반면 전체 비자발적 퇴직자(144만5000명)는 2만8000명 줄었다.
경제의 허리인 40대 일자리가 많은 도·소매업과 제조업의 고용 부진이 이어지면서 올해 들어서도 40대가 대거 직장에서 밀려나고 있다. 지난달 40대 도·소매업 취업자는 1년 전보다 4만8000명, 제조업은 4만4000명 감소했다. 1월 전체 취업자는 1년 전보다 56만8000명 증가했지만 40대는 8만4000명 줄어 전 연령대 중 유일하게 감소했다.
40대 고용 부진은 자영업에서도 나타났다. 올 1월 40대 자영업자는 1년 전보다 11만9000명 감소해 전 연령대 중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월급을 줘야 하는 직원을 둔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9만3000명, 고용원 없는 나 홀로 자영업자는 2만6000명 감소했다. 반대로 60대 자영업자는 1년 전보다 10만5000명 늘었다.
반면 재정일자리 효과가 집중되는 60세 이상 취업자는 세금이 투입되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등에서 큰 폭으로 증가했다. 올 1월 60세 이상 취업자는 1년 전보다 50만7000명 늘어 1982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이 늘었다. 이 중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 12만7000명,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에서는 6만5000명 증가했다. 이 업종들은 재정일자리 사업의 효과가 집중되는 분야로, 정부가 고용 부진 타개를 위해 올해부터 사업 시작 시기를 1월로 앞당긴 효과가 반영됐다.
세종=최혜령 기자 herstor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