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젊은이들이 돌아오는 ‘경남형 어촌뉴딜 사업’

입력 | 2020-02-18 03:00:00

경남도, 2022년까지 38곳 육성… 생활밀착형 SOC 만들어 귀촌 유도
게스트하우스-해양캠핑장 건설 등 청년 일자리 창출에 초점 맞춰




경남 남해군 미조면 설리마을. 경남형 어촌뉴딜 사업지인 이곳은 활처럼 휘어진 해수욕장과 앞으로 보이는 섬들이 아름답고 파도도 잔잔하다. 남해군 제공

‘보물섬’으로 불리는 경남 남해군 인구는 약 4만3500명이다. 1970년대 초반까지 13만 명이던 때와 비교가 어려울 만큼 줄었다. 감소세는 지금도 이어진다. 거제와 통영, 하동과 고성 등 해안지역도 비슷한 형편이다. 어촌의 활력을 유지할 방법은 없을까.

해양수산부는 이처럼 어려움에 놓인 어촌과 어항을 지역 특성에 맞게 개발하는 국책사업으로 ‘어촌뉴딜 300’을 2018년 내놨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 300곳을 선정해 한 곳당 평균 100억 원씩, 모두 3조 원을 투입하는 생활밀착형 사회기반시설(SOC) 조성사업이다. 사회 경제 문화 환경적으로 어촌에 활력을 불어넣고 귀촌(歸村) 인구도 늘리려는 의도다.

경남에선 2019년 15곳, 2020년 23곳 등 38곳이 선정됐다. 이 가운데 21곳(2019년 3곳, 2020년 18곳)은 ‘경남형 어촌뉴딜 사업’으로 특화해 청년 일자리 창출에 주력한다. 2019년 선정한 일자리 창출 대상지는 남해군 미조면 설리항과 고현면 동갈화항, 거제시 동부면 학동항이다.

설리항은 전국 8대 선도사업에도 뽑혔다. ‘눈같이 하얀 백사장’, ‘산에 용이 서린 형상’인 마을은 풍광이 아름답고 관광객도 많다. 2010년부터 설리어촌체험마을을 중심으로 카약과 제트스키, 문어통발 체험 등을 마련하면서 돌아오는 청년도 늘고 있다. 지난해 착공한 브레이커힐스 남해(대명리조트)는 기폭제다. 2023년 문을 열면 관광객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경남도는 여기에 경남형 어촌뉴딜 사업으로 169억 원을 투입해 인프라를 보강했다. 방파제 연장과 부두 조성, 어업인 쉼터와 어구 보관 창고 건립, 바다박물관 조성, 마을경관 특화를 마쳤다.

최근엔 해수부 관계자들이 오상택 경남도 어촌뉴딜담당 사무관의 안내로 현지를 확인했다. 오 사무관은 “경남도정 3대 핵심과제인 ‘청년특별도’ 조성을 위해 청년 일자리 창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머지않아 ‘으뜸 설리, 희망 설리’라는 구호에 걸맞은 마을로 변신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20년 사업도 일자리 창출에 초점을 맞춘다. 낙조(落照)가 일품인 통영시 산양읍 달아항도 경남형 어촌뉴딜 사업 대상지다. 122억 원을 들여 일몰 전망 공간 정비, 게스트하우스 건설, 친수광장 마련 등을 추진한다. 마을식당과 게스트하우스도 운영한다. 경남도는 달아항을 3대 선도사업지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시락항에도 124억 원을 투입한다. 선박 계류장과 해양 캠핑장, 갯벌 체험장, 가두리 낚시터가 들어선다. ‘바람의 언덕’으로 유명한 거제시 남부면 도장포항엔 동백숲을 정비하고 스카이워크, 해안 돌출 덱, 수산물특화센터 등을 만든다. 마을축제, 문화재, 별미 등으로 인기를 끄는 하동군 금남면 대도리 대도항엔 83억 원으로 이순신 되울림전망쉼터를 조성하고 둘레길 연장, 어울림센터 건립, 어항 정비 등을 추진한다.

경남도는 어촌뉴딜 300의 38개 사업 추진으로 사무장 채용 등에 따른 직접일자리 500여 개, 건설인력 등 간접일자리 3500여 개가 생길 것으로 기대한다. 반면 일부 시민단체는 “어촌뉴딜 300을 따내기 위해 실속이 없거나 실현 가능성이 떨어지는 사업도 포장하는 사례가 있다. 시설 보강도 중요하지만 어민들의 생활 편의와 복지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춘근 경남도 해양수산국장은 17일 “지역 공동체와 협의하면서 좋은 일자리 창출, 어민 소득 증대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강정훈 기자 manma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