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1
20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17일 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코로나19 대응 항공분야 긴급 지원대책을 논의, 확정했다.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저비용항공사(LCC)에 대해 최대 3000억원 범위 내에서 산업은행을 통한 대출을 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운항중단, 감축이 이뤄진 노선에 대해선 운수권과 슬롯 미사용분에 대해 유예 조치를 시행한다. 또 전년 동기대비 여객이 감소한 항공사는 3월부터 최대 3개월 간 공항시설사용료에 대해 납부유예를 지원한다. 여기에 착륙료, 조명료 등 감면과 과징금 납부 유예, 운수권 배분 등 대책도 발표됐다.
10일 오후 서울 강서구 한국공항공사 대회의실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참석한 항공사 CEO들이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의 발언을 듣고 있다. 이 자리에서 김 장관은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에 따른 공항·항공기 방역체계를 다시 한 번 점검하고 운항감축 및 이용객 감소로 항공업계 피해현황을 점검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 News1
하지만 업계에서는 정부의 금융지원책의 경우 가이드라인 수준으로 아직 세부사항은 제시되지 않았다고 입을 모았다. LCC 한 관계자는 “산업은행에서 기존 회사들이 대출 받던 방식으로 항공사들이 직접 접촉하는 것으로 안다”며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아직 전달 받은 게 없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업계가 어려움에 처해 있기 때문에 대출을 신청할 경우 최대한 빨리 지원될 수 있도록 금융위원회, 산업은행 등과 긴밀히 협력하겠다는 방침이다. 다만, 구체적인 대출 방법에 대해선 “산업은행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금융 프로그램을 활용한다”며 “여신 심사 프로세스를 거쳐 얼마를 대출할지 최종 결정할 예정”이라고만 밝혔다.
문제는 이들 항공사들의 자금수혈이 한시가 급하다는 점이다. 매각 작업 중인 이스타항공의 경우 최근 일시적 유동성 문제로 정유사로부터 일부 항공편에 대한 급유 중단 통보까지 받았을 정도다. LCC 관계자는 “금융지원안이 포함된 건 다행이지만 자세히 놓고 보면 대출기관을 소개해주는 것 외에는 특별한 게 없다”고 설명했다.
앞서 2001년 9·11테러 이후 정부는 대한항공 1400억원, 아시아나항공 1100억원 등 2500억원의 융자금을 내준 바 있다. 당시 심사 과정에만 총 3개월 정도 걸린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항공사들은 비용절감을 위해 앞다퉈 임금 반납, 무급휴직 등 고강도 긴축에 들어간 상황이다. 최대한 조속한 지원을 호소하는 배경이다.
또 다른 LCC 관계자는 “항공사들은 단시간에 수요회복을 기대하고 있지만 대책은 6월부터이며 그 또한 수요회복이 되지 않을 때가 전제”라며 “특별히 실효성 있어 보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조명료 역시 이미 지난해 말 인천공항공사 이사회에서 감면기한 연장이 의결된 사안이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