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19) 여파가 학원가로 이어지고 있다. 최근 부산시교육청의 발표에 따르면 관내 학원·교습소 가운데 55.2%가 휴업에 참여했다. © News1 DB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교육당국이 개학일정을 연기하는 등 긴급조치에 돌입했다. 하지만 또 다른 교육기관인 학원가에는 여전히 학생들이 몰리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부산에서는 한 학원에서 4명의 확진자가 발생하는 등 집단감염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4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부산지역 83번 환자 A군(17세)은 부산 부산진구에 위치한 한 학원 내 확진자의 밀접 접촉자로 확인됐다.
83번 확진자인 A군은 이 학원에서 발생한 4번째 확진자다. 앞서 이 학원에서는 강사로 근무하던 36번 확진자(28·여성)와 학생이던 여고생 70번 확진자(18·여성)가 잇따라 양성 판정을 받았다.
시에 따르면 54번 확진자는 총 40명과 접촉했으며, 이 가운데 12명의 학생과는 1대1 수업을 진행했다. 70번과 83번 확진자는 1대1 수업을 한 12명 중 2명이다.
시는 증상이 없던 10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하지 않았지만, 2명의 확진자가 나오면서 나머지 학생들에 대한 검사를 결정했다. 현재 10명의 학생들은 자가 격리 중이다.
교육청은 83번 확진자가 당감동에 있는 또 다른 학원에 다니고 있는 것으로 확인돼 이 학원 원생 120명에 대해서도 전원 자가격리 조치했다.
현재 교육부는 전국의 유치원, 초·중·고등학교의 개학을 오는 23일까지 연기함과 동시에 학원 휴원 권고를 다시 한 번 촉구한 상태다.
적게는 수명에서 많게는 수십여명이 한 공간에 모일 경우 코로나19 감염에 취약할 수 있다는 판단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공교육 기관인 학교는 정부 지침에 따라 개학 연기 등의 조치가 가능하지만 학원은 정부의 ‘권고’에 따른 자율적 판단에 맡기고 있어 사실상 감염 ‘사각지대’다.
부산시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27일 기준 부산지역 학원 가운데 55.2%가 휴원을 결정했다. 여전히 절반 정도는 수업을 진행 중인 상황이다.
하지만 사설 교육기관인 학원의 경우 당장 휴원을 하면 발생할 수 있는 금전적 피해에 대한 우려가 크다.
실제 한 학원 관계자는 “학원은 1달 휴원을 하면 고스란히 수입이 사라지는 구조”라며 “학원 자체는 물론, 근무하는 직원들의 생계가 걸려 있는 문제”라고 말했다.
(부산=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