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 단일시장 인식해 생산-수출망 구축… 비용 싼 동유럽에 생산법인 많아 체코-폴란드-헝가리-슬로바키아… 국경통제로 160개 법인 악영향 예상 현지서 부품 조달 차질 가능성 커
15일 산업계는 상대적으로 방역·의료 체계가 취약한 체코 폴란드 헝가리 슬로바키아 등 동유럽 4개국이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국경 통제에 나섰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한국 기업은 폴란드 체코 등이 2004년 대거 유럽연합(EU)에 가입하자 동유럽에서 생산해 주로 서유럽 시장에 판매하는 사업 모델을 구축했는데 각국이 외국인 전면 입국 금지 등 출입국 제한에 나섰기 때문이다.
폴란드(LG화학)와 헝가리(삼성SDI)에서 배터리셀을 생산해 독일 프랑스 등의 완성차 업체 공장에 공급하는 다른 기업들도 유럽 각국 정부의 국경 봉쇄 조치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상황이 장기화되면 운송 및 물류 비용이 늘어나는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럽 각국에 이미 출장을 나간 인력의 복귀 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기업을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최근 슬로바키아로 출장을 간 자동차부품 업체 직원 A 씨는 15일 프랑스 파리에서 인천으로 오는 항공편을 가까스로 구했다. A 씨는 “슬로바키아 정부가 공항을 폐쇄해 오스트리아 빈 공항까지 유료 픽업 차량을 가까스로 섭외해 이동했고, 파리까지 에어프랑스 비행기로 이동해 대한항공 귀국편을 타는 일정”이라며 “조금만 대응이 늦었어도 국제 미아가 될 뻔했다”고 토로했다.
현실적으로 출장자의 귀국이 쉽지 않은 경우 장기 체류 조치를 하는 기업도 나오고 있다. 화학업계의 한 관계자는 “유럽으로 인수합병(M&A) 절차를 밟으러 간 직원들이 바로 돌아올 수 없는 상황이라 출장 체류 기간을 늘리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며 “유럽의 각 나라 정부가 제각각 산발적으로 코로나19 관련 조치를 쏟아내 어지러울 지경”이라고 말했다. KOTRA에 따르면 2018년 말 기준 유럽 지역 29개국에 등록된 한국 기업의 현지 법인 및 지점, 사무소는 총 947곳이다.
지민구 기자 waru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