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의 4세대 방사광 가속기.
이종승 기자
차세대 방사광가속기의 건설에만 1조 원이 투입되고, 만들어지는 일자리도 8000∼9000개로 추정되기에 해당 지역의 관심은 당연하다. 대학은 차세대 방사광가속기가 기초 학문부터 응용 학문에 이르기까지 거의 전 과학 분야와 관계돼 있어 대학 역량 강화에 중요하다고 본다.
차세대 방사광가속기는 3세대 방사광가속기에 비해 빛의 밝기와 응집도가 최대 1000배나 높고, 빛을 관찰할 수 있는 실험공간인 빔 라인이 60개 이상인 초대형 원형 방사광가속기다. 정부가 차세대 방사광가속기를 건설하려는 것은 미래의 먹거리에 바탕이 되는 기초 기술을 닦는 데 방사광가속기가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차세대 방사광가속기는 ‘대학 활용 지역균형발전’에 기여해야 그 가치가 더 높아질 것이다. 대학 육성은 수도권과 지방, 동서 지역 산업의 불균형을 바로잡을 유력한 수단 가운데 하나다. 대학 육성에 차세대 방사광가속기가 가세하면 그 효과가 배가될 것으로 보인다. 대학을 성장 동력으로 보는 정부의 의지는 거점 국립대 육성과 한전공대 신설 추진에서도 확인된다.
독일처럼 다핵화, 특성화, 전문화를 지역균형발전의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독일의 기술 연구를 선도하는 9개 공대(TU9)와 막스 플랑크 연구소 등 4대 연구기관은 전국 각지에 클러스터를 이뤄 지역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우리도 전국 곳곳에 전문화된 산학연구단지를 육성해 지역발전의 선순환 고리로 삼아야 하고, 여기에 차세대 방사광가속기가 역할을 해야 한다. 정부가 심혈을 기울여 추진하고 있는 지역균형개발 정책이 차세대 방사광가속기 선정에서 더 명확해지길 기대한다.
이종승 기자 urisesa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