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코로나 심각 격상 한달…공연 개막 편수, 70%↑ 감소

입력 | 2020-03-22 09:26:00

내한·해외초청 공연 등 잇따라 무산
개별 예술인들에 실질적인 지원 필요
"연기된 공연 하반기로 공연장 임대 대란" 우려




오는 23일이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의 위기단계가 심각으로 격상된 지 한 달이 된다. 국가적 재난으로 사회 전체가 위기를 겪고 있지만, 모임을 자제하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권고되면서 공연계의 피해가 특히 극심하다.

22일 예술경영지원센터 공연예술통합전산망(kopis)에 따르면, 이달 21일까지 3월 공연 개막편수는 겨우 70편에 불과하다. 2월의 개막편수는 380편이었다. 이달 말까지 3월 공연 개막 편수를 추산하면 100편가량. 백분율로 따지면 전달과 비교해 제작편수가 70%이상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이달 1일부터 21일까지 3월 공연계 매출액은 약 63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2월 매출액은 약 210억원. 지금까지 추세를 감안해 이달 31일까지 3월 매출액을 추산해보면 약 90억원으로 2월의 반토박에도 미치지 못한다. 2월이 보통 공연계 비수기로 통하는 달인 것을 감안하면 크게 매출이 감소한 것이다.

현재 마니아층을 보유한 뮤지컬에서 몇 편 만 오를 뿐 연극, 클래식, 무용, 국악 등은 상당수 작품이 취소되거나 연기됐다. 특히 세부 장르를 따지면 외국 관광객을 주로 대상으로 한 넌버벌, 그리고 아동청소년극의 타격이 심하다.

내한공연과 해외초청공연의 피해도 막대하다. 예술의전당, 롯데콘서트홀, LG아트센터에서 예정했던 해외 클래식과 무용 팀의 내한이 거의 무산됐다.

국공립 공연장을 중심으로 4월 공연도 상당수 취소됐다. 공연계의 상반기 전체가 코로나19의 피해를 입을 뿐만 아니라 하반기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는 지난 18일 발표한 ‘코로나 19 사태가 예술계 미치는 영향과 과제’ 보고서에서 올해 1~4월 사이 취소·연기된 현장 예술행사가 2500여건이며 피해액은 약 523억원에 달한다고 추정했다. 공연과 함께 전시까지 피해액을 합쳐 예상한 것이다.

◇정부 대책, 좀 더 실질적 지원 형태가 돼야

코로나19로 인한 공연계 피해를 돕고자 정부가 여러 대책을 내놓았다.

최근 내놓은 공연업계 지원 방안 중에서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극장에 1곳당 최대 6000만원씩 총 200곳을 지원하고 예술인 및 예술단체에 2000만∼2억원의 공연 제작비 지원이 눈에 띈다.

하지만 피해를 입은 개별 예술인들은 이런 지원 정책의 수혜를 거의 받을 수 없다. 이런 방안은 극장 소유주나 단체들 위주로 피해보상이 돌아가기 때문이다. 임대료 지원도 주로 건물주가 혜택을 보는 방식이다.

제작비를 작품 규모별로 차등 지원을 하는데, 소규모 작품의 제작진은 증빙할 자료도 없어 지원액이 적어질 것이 뻔하다. 학교로 찾아가는 공연이 상당수인 아동청소년극은 이번 지원에서도 외면당하고 있다.

김관 한국연극협회 사무총장은 “사각지대를 만들지 않겠다면서 진행 중인 구제 사업이 개별 연극인들에게는 미봉책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임정혁 한국소극장협회 이사장은 “구체적인 지원 방안이 아직 논의 중이라 말하기가 조심스럽다”면서 “평소 어디에서도 지원을 받지 못하는 순수 민간 공연장과 제작사부터 지원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는 공연업계의 회복 속도를 높이기 위해 코로나19가 안정되면, 적절한 시기에 공연 관람객 300만명을 대상으로 예매처별 1인당 8000원 상당의 관람료 할인권을 지원하기로 했다.

하지만 2015년 메르스 직격탄 당시 시행한 ‘티켓 원 플러스 원(1+1)’ 때처럼, 국가보조금을 챙기기 위해 일부 제작사가 사재기를 하는 등의 부작용이 다시 생기지 않을까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2018년 11월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의원이 대표발의한 ‘고용보험법 일부 개정 법률안’처럼 예술인들의 기본소득을 보장하는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수형태근로종사자와 예술인은 항상 실업의 위험에 노출돼 사회·경제적 보호 필요성이 크기 때문에, 이들이 실업에 처한 경우 생활 안정을 기하고 조기에 재취업할 수 있도록 고용보험을 적용하자는 것이 개정 법률안의 취지다. 그런데 국회에서 여전히 표류 중이다.

이와 함께 상반기에 연기된 공연 등이 하반기에 무대에 오를 것을 예고하면서 공연장 임대 대란이 일어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