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기업들의 돈 가뭄을 해소하기 위해 한국은행이 사상 처음으로 ‘무제한 돈 풀기’라는 카드를 꺼내들었다. 1998년 외환위기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도 내놓지 않았던 조치로, 발권력을 동원해 금융기관에 한도 없이 유동성을 공급하겠다는 뜻이다. 국책은행들도 자금난을 겪고 있는 두산중공업에 1조 원을 긴급 투입하기로 했다.
한은은 26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한국은행의 공개시장 운영규정과 금융기관대출규정’ 개정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4월부터 3개월 동안 매주 1회 한도를 정해두지 않고 금융기관의 수요에 맞춰 환매조건부채권(RP)을 전부를 매입할 계획이다. RP는 금융기관이 일정기간 후에 다시 사는 조건으로 발행하는 채권으로, RP를 매입한다는 건 금융기관에 현금을 풀어준다는 얘기다.
더 많은 금융기관이, 더 쉽게 돈을 끌어갈 수 있도록 RP 거래에 참여할 수 있는 금융기관과 대상 증권도 대폭 늘렸다. 윤면식 한은 부총재는 “시장의 유동성 수요 전액을 제한 없이 공급하기로 결정한 조치”라며 “사실상의 양적완화 조치로 봐도 무방하다”라고 밝혔다.
그러자 한은이 매주 돈을 풀어 은행과 증권사들이 유동성 걱정 없이 패키지에 자금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한은이 RP 매입을 통해 은행에 현금을 풀면 해당 은행은 채안펀드에 돈을 부을 수 있고, 펀드는 회사채나 기업어음(CP)을 매입하게 된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한은이 무제한으로 유동성을 공급하면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해주는 효과가 커 금융회사의 유동성 확보와 채권시장의 안정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책은행들의 대기업 긴급수혈도 시작됐다. 24일 한국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은 경영악화로 재무구조 개선에 나선 두산중공업에 1조 원 규모의 대출을 추진하기로 했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대출이 이뤄지면 이를 발판 삼아 당초 계획하던 재무구조 개선을 더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기업이 필요할 때 적절한 지원이 이뤄졌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 최선을 다해 재무구조를 개선해 대출금을 상환하겠다”고 말했다. 두산중공업의 대주주인 ㈜두산은 자사가 보유한 두산중공업 주식과 부동산 등을 이번 대출약정에 대한 담보로 제공하기로 했다.
정부도 이날 추가 자금 지원 대책을 내놨다. 금융회사의 비예금성 외화부채에 부과하는 외환건전성 부담금을 6월 말까지 한시적으로 면제하기로 했다. 은행의 외화유동성 커버리지 비율(LCR) 하한선을 종전 80%에서 70%로 낮춰 은행이 달러화 등 외화자산의 일부를 기업에 제공할 수 있게 했다.
금융권 일각에서는 기업 자금난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해서는 한은이 RP뿐만 아니라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처럼 회사채와 CP를 직접 매입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윤 부총재는 “정부가 보증만 한다면 회사채 매입도 나설 수 있다”고 말했다.
장윤정 기자 yunjung@donga.com
김형민 기자 kalssam35@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