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미래통합당 총괄선거대책위원장. 2019.3.5/뉴스1 © News1
김종인 미래통합당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은 29일 “정부와 국회는 신속하게 올해 예산의 20% 정도 규모를 항목 변경해서 코로나 비상대책 예산으로 전환해 우선 100조원 규모의 재원을 확보해야 한다”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대응을 위한 대책을 제안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선대위원장 첫 일정으로 비상경제대책 기자회견을 열고 “지금 같은 상황에선 어차피 512조의 예산(본예산) 중 상당 부분이 쓰지 못한 채 남게 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위원장은 “임기 종료를 앞둔 20대 국회가 총선 직후 임시회를 열어 헌법 56·57조가 규정하고 있는 예상 재구성을 끝내야 한다”며 “기획재정부도 즉시 이를 준비하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비상경제 상황은 연말까지 갈 수도 있다”며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가 4월에만 6조원 규모고 연말까지 50조원이 넘는다. 신용보증기금을 확대하는 등의 방식으로 은행들이 더 많은 회사채를 인수하게 해줘야 한다”고도 했다.
또 그는 “1000조원이 넘는 시중 부동자금을 국채로 흡수해 ‘비상경제 대책 예비재원’으로 확보해두는 방안도 빨리 찾아보기 바란다”고 정부에 제안했다.
김 위원장은 코로나19와 관련한 정부 정책에 날을 세우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우리나라가 코로나 사태를 이만큼 대처해가고 있는 것은 지난 70년간 우리가 같이 쌓아온 국가의 역량 덕이고 상황은 여전히 진행 중에 있다”며 “지금 정부를 맡은 사람들이 자화자찬할 하등의 이유도 없고 또 그럴 때도 아니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자신이 통합당 총괄선대위원장직을 맡은 배경에 대해서는 “전 대통령(박근혜 전 대통령)과 지금 대통령(문재인 대통령)이 탄생하는 데 일조한 사람으로서 저는 국민께 미안한 마음을 갖고 있다”며 “그런 탓에 문 정부 심판에 앞장서달라는 통합당의 요청을 거절할 수 없었다. 제 인생의 마지막 노력으로 나라가 가는 방향을 반드시 되돌려 놓아야겠다고 결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 3년간 잘한 것이 하나도 없고 나라를 경영할 능력도 없다는 걸 스스로 드러낸 정권은 심판받아 마땅하다. 그것을 못하면 이 나라는 예측불허의 상황에 빠질 것”이라며 “이번 총선은 나라를 살리는 길로 돌아갈 수 있는 마지막 출구일지도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이번 선거에는 50년대 야당의 선거구호가 딱 맞다. ‘못살겠다. 갈아보자!’ 이게 민심이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