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블루’ 극복법
장기간 외부와 단절돼 실내에서만 생활하다 보면 우울해지기 쉽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와 맞물려 불안과 우울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고려대구로병원 제공
○ 코로나 블루 실제 증상은
코로나 블루는 의학적 진단이 따로 있는 건 아니지만, 감염병 유행에 대한 불안이나 우울감 호소라고 볼 수 있다. 이때 신체적인 증상도 동반된다. 스트레스 상황에서 나타나는 신체 증상이다. 불면증이나 식욕 감퇴, 소화 불량, 두통, 어지럼증, 답답함 등이 대표적이다.
코로나19를 반복해서 생각하면 작은 신체적 반응도 예민하게 받아들여 혹시 감염된 게 아닌가 하는 불안감을 가질 수 있다. 홍 교수는 “불안이나 스트레스로 다양한 신체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을 자각하고 마음을 차분히 하면 증상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병에 대한 두려움 외에 격리나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일상생활에 변화가 생기는 것도 스트레스로 이어질 수 있다. 원치 않는 상황에서 늘 지속하던 일상을 유지하지 못하는 데 따른 것.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제적 어려움도 스트레스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코로나19 확진자에 대한 혐오는 감정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홍 교수는 “이웃뿐만 아니라 내 가족이나 본인도 감염될 수 있다는 생각을 갖고 전염병 전파를 막기 위해 함께 협력해야 할 동료라는 생각으로 격려와 응원을 보내야 한다”며 “서로에 대한 혐오는 쓸데없는 불안과 감정적 낭비를 가져온다”고 말했다.
○ 야외활동 등 규칙적인 생활 중요
무엇보다 내가 가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는 활동을 해보는 걸 추천한다. 통화나 이메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통해 사람들과 교류를 지속하는 것도 고립감이나 답답함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사회적 거리 두기’라고 하지만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강조하듯 ‘물리적 거리 두기’가 더 정확한 표현이며 사회적으로 고립되라는 의미가 아니다. 직접 대면하지 못할수록 전화나 화상통화 등을 통해 사회적 소통을 유지하는 게 필요하다.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가짜뉴스도 주의해야 한다. 급박한 재난상황에선 가짜뉴스에 휘둘리기 쉽다. 앞이 잘 보이는 낮에 운전하는 것보다 어둡거나 안개가 자욱한 상황에서 불안이 커지는 것과 비슷하다. 이럴 때는 작은 자극에도 위험을 더 크게 느끼고 부정적인 생각을 하기 쉽다. 평소 같으면 무시하고 믿지 않을 가짜뉴스를 그대로 받아들일 가능성이 커지는 것이다. 가짜뉴스가 아니더라도 매일 쏟아지는 코로나19 뉴스가 심리적 외상을 유발하는 자극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일정한 시간을 정해놓고 관련 뉴스를 보며 정보를 접할 것을 권한다. 석 교수는 “지속적으로 충격적인 소식이나 장면을 보는 것은 심리적인 충격을 키우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진한 의학전문기자·의사 likeda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