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총선의 막이 올랐지만 각 정당의 정책공약을 둘러싼 여야 후보들의 치열한 토론이나 공방은 잘 보이지 않는다. 코로나19 사태가 웬만한 정책 이슈를 덮어 버린 영향이 크지만 이런 추세가 계속되면 정책 선거가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코로나 방역 전선에 한 치의 빈틈도 있어선 안 된다. 그렇다고 해서 선거의 본질적인 의미가 가려지거나, 잊혀져서도 안 될 것이다. 총선은 정권의 국정 운영에 대한 중간 평가의 성격을 가진다. 그중에서도 경제 정책은 정부 출범 이후 3년 정도면 출범 초기 실시했던 결과를 충분히 검증할 만한 시점이기도 하다. 총선은 그 결과를 토대로 잘된 정책은 가속도를 내고, 잘못됐다면 궤도 수정을 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다.
현 정부 경제정책의 핵심은 소득주도 성장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3가지 정책 수단은 최저임금 인상, 주 52시간 근로시간 단축,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이다. 야당은 ‘소득주도 성장 기조’를 ‘실업주도 몰락’이라고 비판하고 있고, 현 정부는 정책 기조를 보완할 순 있어도 수정은 없다며 일축하고 있다.
역대 선거 결과는 민심의 저류를 관통하는 메시지를 던졌다. 정권의 오만과 독선이 도를 넘으면 경고의 메시지를 보냈고, 야당의 무능과 비호감에도 예외가 없었다. 선거판이 혼탁해질수록 유권자들의 현명한 판단, 선택이 더 중요해지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