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이 4·15총선에서 얻은 지역구 의석은 여당의 절반 수준인 84석에 그쳤다. 최대 접전지인 수도권에서 121석 중 겨우 16석(13.2%)을 얻어 사실상 궤멸했다. 기록적인 참패로 황교안 대표가 그제 사퇴하고 최고위원 7명 중 조경태 최고위원을 제외한 6명이 모두 낙선했다. 당 대표권한 대행을 맡아야 할 심재철 원내대표까지 낙마해 지도부마저 공중 분해될 처지다. 김종인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은 어제 기자회견에서 “통합당의 변화가 모자랐다는 것을 인정하고, 자세도 못 갖춘 정당 지지를 요청한 것이 송구하다”고 말했다.
통합당의 총선 참패는 민심이 4년 차 정권 심판보다 야당의 구태를 심판한 결과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범보수 진영은 자중지란의 늪에서 헤어 나오지 못했다. 정작 국민들의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정치의 본령은 제쳐둔 채 탄핵 찬반을 둘러싸고 내부에서 철지난 낙인찍기에 급급했다. 정책 대안 없이 정부 여당 반대에만 매달리는 낡고 편협한 사고의 틀을 벗어나지도 못했다. 국민들은 투표로 이런 야당을 응징한 것이다.
무엇보다 통합당의 가장 큰 패인은 시대 흐름을 거스르는 낡은 인물들이 계속 요직을 독차지하면서 전면에 나선 것이다. 이처럼 변화와 담을 쌓은 기득권 유지가 보수의 가치인 것처럼 비친 것은 혁신에 눈 감은 탓이다. 진정한 보수주의 가치는 지속적이고 점진적인 혁신과 쇄신인데도 통합당은 이를 철저히 외면했던 것이다. 통합당이 전국 단위 선거 4연속 패배를 기록한 것은 고인 물에 안주하는 보수 세력에 대한 민심의 최후통첩으로 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