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신문과 놀자!/클릭! 재밌는 역사]농업과 무역으로 힘 키운 여진족… 훗날 중국대륙까지 지배했어요

입력 | 2020-04-22 03:00:00


누르하치(1559∼1626)는 중국 청나라의 태조다. 변방의 약소 부족으로 경시받던 여진족을 통일하고 후금을 세워 청나라의 기틀을 닦았다. 오른쪽은 1619년 3월 후금이 싸얼후(薩爾滸) 지역에서 명나라 연합군을 물리친 ‘싸얼후 전투’ 그림.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14∼15세기 동아시아에서 가장 약한 민족은 누구였을까요? 바로 여진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진족은 몽골, 조선, 명의 집중적인 견제를 받았고 부족 간 내분도 심했습니다. 그랬던 여진족이 16세기 말에 이르러 명과 조선보다 강력한 군사력을 소유하게 되고, 17세기 중엽에는 명을 정복해 대륙의 지배자가 됩니다.

여진족이 강대국이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1998년 역사학자들은 ‘만주학회’를 창립해 만주 지역(동북삼성)에 등장한 여러 민족과 역사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여진족의 성장 배경과 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농업 생산력의 증대

여진족은 12∼13세기에 금나라를 건국해 화북에 거주하는 한족을 지배하다가 몽골에 멸망합니다. 몽골이 세운 원이 멸망한 이후에도 여진족은 몽골, 조선, 명의 집중적인 견제를 받아 세력이 약했습니다. 15∼16세기 여진족은 몽골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해서여진 4개 부족, 명과 조선의 영향을 받는 건주여진 5개 부족, 두만강 북쪽의 야인여진 4개 부족이 흩어져 생활하고 있었습니다.

여진족은 무역이 어렵거나 자연재해가 발생하면 무리를 이루어 약탈에 나섰습니다. 여진족은 수렵과 어로, 교역으로 생존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경제구조는 많은 인구를 부양하기 어렵고, 자연재해에도 취약했습니다. 따라서 약탈이 중요한 경제 기반이 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약탈은 같은 내부에서도 자주 발생해 부족 간 분쟁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15세기경 여진족은 점차 농업을 발전시키기 시작합니다. 명과 조선에서 수입한 농우, 농기구를 이용해 농지를 개간했고, 점차 농업에 유리한 두만강과 압록강 유역, 요동지역으로 진출했습니다. 명과 조선은 철과 농우의 수출을 엄격히 금지하고 통제했지만, 여진인은 자신들이 생산한 모피, 말, 산삼 등을 이용해 더 많은 철과 농우를 수입했습니다. 또 명과 조선의 국경지대에 침입해 농민을 잡아가서 농사를 짓게 하였습니다.

○ 교역의 확대

여진과 명, 조선 간의 무역량은 점차 증가합니다. 명은 개원, 광녕, 무순에 시장을 개설했고, 이후 청하, 애양, 관전에도 마시(馬市)를 열었습니다. 초기에는 생필품 교환 수준이었지만, 명의 궁정과 지배층은 모피를 점차 대량으로 수입했습니다. 자연스럽게 마시에서 거래하는 여진족 상인이 급증했습니다. 임진왜란 전후 마시의 여진족 상인은 1000여 명에 달했습니다.

여진족은 인삼도 명에 수출했습니다. 특히 백두산 인근에서 인삼을 채취해 명 상인에게 팔았습니다. 조선 역시 인삼을 물에 쪄서 제조하는 파삼(把蔘)을 만들어 명에 수출하고 있었습니다. 여진족은 햇볕에 말린 인삼, 조선은 물에 쪄서 가공한 인삼을 명에 수출하며 치열하게 경쟁했습니다. 여진족은 더 많은 인삼을 구하기 위해 조선 국경을 몰래 침범했고, 선조 28년(1595)에는 인삼을 채취하는 여진족 40명이 처형되기도 했습니다.

여진족은 명과 조선에서 철기도 많이 수입했습니다. 철기 중 일부는 무기를 만드는 데 사용됐습니다. 조선과 명은 이러한 사실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철의 수출을 일부 통제했습니다. 그러나 명과 조선이 허가한 시장 외에 밀무역이 번성하고 있었습니다. 명과 조선의 역사기록에는 여진족의 마을마다 대장간이 있으며, 농기구를 가공해 무기와 갑옷을 만든다는 내용이 자주 등장합니다.

○ 누르하치의 등장과 대륙 지배

누르하치 집안은 요동지역에 거주하는 명의 관리들과 친분을 쌓고, 명으로부터 받은 공무역의 권한을 이용해 성장했습니다. 누르하치는 명의 신뢰를 얻어 자신의 신분과 지위를 높이면서 다른 여진 부족과의 싸움에서 우세를 차지했습니다. 누르하치는 25세가 되는 1583년부터 선조가 물려준 군대를 이끌고 주변의 건주여진을 정복했고, 1588년에는 건주 5부를 통일하는 데 성공합니다.

누르하치는 여진 부족 통일 과정에서 팔기(八旗)제도를 정비했습니다. 1601년 누르하치는 300명을 1니루라고 부르고 니루어전이 지휘하게 했습니다, 처음에는 4개의 니루가 4가지 깃발을 사용하여 4기라고 했고, 1615년경에는 약 200개의 니루가 8개의 깃발을 사용해 8기라고 불렀습니다. 팔기제가 완성된 시기 1기의 병사는 7500명이었으며, 지휘관은 누르하치의 아들과 조카가 담당했습니다.

누르하치는 요동지역에 주둔하던 명나라 군대가 조선에 파병되자 군사력을 확대하고 여진 부족의 통일에 전념했습니다. 이때 요동에 거주하는 한족들은 명나라가 세금과 요역을 과도하게 징수하자 여진지역으로 이주했습니다. 그 결과 여진지역의 인구가 점차 증가해 50만∼70만 명에 달했습니다.

세력을 확장한 누르하치는 1616년 후금을 건국하고 2년 뒤 명에 전면전을 선포했습니다. 1619년 누르하치가 이끄는 후금과 이를 저지하려는 명, 조선, 해서여진, 몽골 연합군이 전투를 벌입니다. 싸얼후 전투라고 불리는 이 전쟁에서 누르하치는 대승을 거둡니다. 1626년 누르하치는 68세의 나이에 산해관 앞에 있는 영원성을 공격하다가 사망합니다. 이후 홍타이지(청 태종)는 조선을 굴복시키고 명을 계속 공격했으며, 뒤를 이은 푸린(순치제) 황제 시기(1644년)에 만리장성을 넘어 북경까지 점령합니다. 여진족은 이처럼 오랜 세월 동안 차근차근 힘을 키워 결국 대륙의 지배자가 된 것입니다.

이환병 서울 용산고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