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경제위기] 현대차 1분기 영업익 4.7% 증가… 삼성 반도체 작년 수준 4조 예상 이달 들어 반도체 수출 15% 줄고… 자동차 해외 공장 셧다운 길어져 “미래 수요 예측조차 힘든 상황”
1월 말부터 글로벌 생산기지가 연쇄적으로 셧다운되며 생산 차질을 겪었던 현대자동차는 1분기 실적 급락을 피했다. 23일 현대차 공시에 따르면 판매량은 1년 전보다 11.6% 줄어든 90만3000여 대로 9년여 만에 분기 판매 100만 대 선이 무너졌지만 매출(25조3194억 원)과 영업이익(8638억 원)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6%, 4.7% 증가했다.
제네시스 GV80 등 고급차의 신차 출시 효과와 환율 효과 등이 실적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미국 앱티브와 설립하는 자율주행 합작법인에 현물 출자한 지식재산권(IP) 1056억 원이 반영된 것을 제외하면 실질적인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8.1% 감소했다.
도현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코로나19로 재택근무, 온라인 교육 수요 증가로 데이터센터 관련 투자가 늘면서 서버용 반도체 제품 판매량이 올라간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산업계에서는 “코로나 쇼크는 이제 시작”이란 말이 나온다. 김상현 현대차 재경본부장은 이날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전화 회의)에서 “해외 영업 활동과 공장 가동 중단이 길어지면서 자동차 업계의 수익성 하락도 장기화할 것”이라며 “빠른 ‘V자’ 형태의 반등은 쉽지 않다”고 했다.
반도체 업계도 2분기 실적 우려가 적지 않다. 4월 1∼20일 한국의 반도체 수출은 14.9% 감소한 상태다. SK하이닉스는 코로나19 영향으로 2분기와 하반기(7∼12월) 실적 감소 가능성에 대비해 시설 투자액을 전년(12조7000억 원)보다 대폭 줄이기로 했다. 차진석 SK하이닉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콘퍼런스콜에서 “코로나19로 정상적인 영업 활동을 유지할 수 없고 미래 수요를 예측하는 기본적인 경영 활동조차 어려운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중국 기업의 저가 물량 공세로 수년간 어려움을 겪은 디스플레이 업계는 최악의 상황을 맞이하고 있다. LG디스플레이는 이날 1분기 영업손실이 3619억 원으로 나타났다고 공시했다. 매출액도 4조724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6% 감소했다. 액정표시장치(LCD) 저가 수주 경쟁이 이어진 상황에서 코로나19 영향으로 신사업 분야인 플라스틱 유기발광다이오드(P-OLED) 제품의 양산 일정도 지연됐기 때문이다. 서동희 LG디스플레이 CFO는 “자원 투입을 최소화하며 현금 관리에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