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서울 중구 서울지방고용노동청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구직자들이 실업급여설명회장을 나서고 있다. 2020.4.21 © News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국내 고용시장에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때 보다 더 큰 타격을 줬고, 실질적인 일자리 감소는 통계청 발표보다 10배 이상 심각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6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박기성 성신여대 경제학과 교수팀에 의뢰한 ‘전일제 환산(FTE) 취업자 수 추정 및 분석’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 FTE 취업자 수는 2545만8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755만3000명)에 비해 7.6% 줄어들었다. 지난달 통계청이 발표한 3월 고용동향의 전년 대비 감소폭(0.7%)보다 10배가 넘는다.
FTE 취업자 수는 1주일에 40시간 일한 사람을 1명으로 산정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고용상황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 꼽힌다. 1주일에 20시간을 일하면 전일제 환산 0.5명, 60시간 일하면 전일제 환산 1.5명으로 간주하는 식이다.
조사 결과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은 업종은 대면 서비스직이었다. 올해 3월 FTE 취업자 수는 △도매 및 소매업 ―11.2% △숙박 및 음식점업 ―14.6% △교육 서비스업 ―24.9%로 통계청 통계보다 감소폭이 2~4배 더 컸다.
일자리가 늘었다는 통계청 분석과 달리 오히려 취업자 수가 줄어든 업종도 있었다. 통계청이 3.7% 증가했다고 발표한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 수는 오히려 1년 전보다 3.9%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 발표 상 2% 증가한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5% 증가한 운수 및 창고업 역시 FTE 취업자 수는 각각 16.8%, 5.4% 감소했다.
고령자 일자리 수치에서도 통계청 수치와 괴리를 보였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에서도 60세 이상 고령층 취업자는 유일하게 7.4% 늘었지만, FTE 기준으로는 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 교수는 “노인층의 실질적 고용과 소득상황이 통계청 통계보다 더 크게 악화됐을 수도 있다”고 부연했다.
박 교수는 특히 이번 사태가 과거 외환위기와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보다 심각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1998년 3월 FTE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7%로 올해 3월(―7.6%)보다 감소폭이 적었다. 또 2009년 3월 금융위기 당시에도 ―4.1% 감소하는 데 그쳤다.
허동준 기자 hungr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