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크 쿠퍼 미국 국무부 정치·군사 담당 차관보가 8일(현지 시간) 한미방위비분담 특별협정(SMA) 협상과 관련해 “건강한 담론이 지속되고 있다”며 “문재인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중 누구도 동맹이 침식되는 걸 보길 원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최근 미국 측이 한국 측에 지난해보다 49% 늘어난 13억 달러의 방위비 분담금을 요구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는 등 분담금 증액 압박이 이어지면서 한미 동맹 약화 우려가 나오고 있는 점을 의식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쿠퍼 차관보는 이날 화상 언론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문 대통령,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강경화 외교장관, 제임스 드하트 국무부 방위비분담협상대표와 정은보 한미방위비분담협상대사 등의 이름을 일일이 언급한 뒤 “의사소통이 결코 멈추지 않았으며 건강한 담론이 지속되고 있다”며 “모든 의사소통 라인이 계속 열려 있고 활동 중인 상태”라고 설명했다.
또 주한미군 내 한국인 군무원 무급휴직 사태의 영향과 협상의 긴급성에 대한 질문에는 긴급성에 대한 인식이 상실된 것은 없다”며 “무급휴직이 된 사람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태세에서 출근을 하지 못하게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것(무급휴직)이 분명히 장기적으로 바람직한 것은 아니지만 단기적으로 보면 무급 휴직된 인원들이 어쨌든 그 자리에 없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 때문에라도 주한미군 군무원의 근무 차질이 불가피했다는 점을 내세워 이번 사태의 파장을 진정시키려는 의도로 보인다.
뉴욕=박용 특파원 park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