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에 따른 외국인 입국제한 조치를 점진적으로 완화할 방침이라고 22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닛케이는 이날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 “상대국의 바이러스 감염 상황 분석을 통해 입국 제한 완화 대상 국가와 시기를 검토하고 있다”며 “감염자 수가 적고 일본과의 경제관계가 강한 베트남과 대만, 그리고 유럽 일부 국가가 후보로 꼽힌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마이니치신문도 지난 18일자에서 “일본 정부가 코로나19로 위축됐던 경제활동을 재개하기 위해 한국·중국 등의 기업인·연구원에 한해 출입국 제한을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었으나, 이날 닛케이 기사에선 한국과 중국은 언급되지 않았다.
특히 올 4월부턴 한국·미국·중국·캐나다를 비롯해 영국을 포함한 유럽 대부분 국가 전역에 체류했던 모든 외국인의 일본 입국이 원칙적으로 금지됐고, 현재는 입국금지 대상 국가·지역이 모두 100곳에 이른다.
일본 정부는 이들 100곳 외 국가·지역에서 오는 외국인에 대해선 입국 뒤 2주 간 호텔 등 신고된 장소에서 ‘대기’(격리)토록 하고 있는 상황.
그 결과, 일본정부관광국(JNTO)이 집계한 올 4월 방일(訪日) 외국인 수는 2900명으로 작년 같은 달 292만여명의 약 1000분의1 수준으로 급감했다.
닛케이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먼저 업무상 일본을 찾는 경제인과 연구원을 대상으로 입국 제한을 풀고, 유학생과 관광객 순으로 그 대상을 확대하는 ‘3단계’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와 관련 일본 외무성은 재외공관 등을 통해 중국과 유럽연합(EU) 회원국들의 입국 제한 완화 사례를 분석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