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한국의 젊은 건축가들〈9〉 EUS플러스건축 서민우-지정우 소장
서울 용산구 용암초등학교 ‘놀이둘레길’. 인근의 남산 둘레길을 닮은 공간에 대한 아이들의 호감을 반영해 공간을 구성했다. 서울타워와 터널의 형태도 디자인 모티브로 삼았다. 두 건축가는 초등학교 운동장의 옛 구령대를 놀이시설로 리모델링하는 등 어린이를 위한 공간 만들기에 매진하고 있다. EUS플러스건축 제공
2016년 설립해 어린이를 위한 공간 짓기에 몰두하고 있는 EUS플러스건축의 설계는 그래서 ‘아이들과 친해지기’에서 출발한다. 서민우 소장(50)은 “단도직입의 질문은 어른의 세계에서 통하는 방식이다. 아이들과 의미 있는 대화를 나누기 위해서는 서로를 알아가는 시간을 보내는 단계적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이들 처지에서 보면 건축가라고 불리는 낯선 어른들이 나타나 ‘너희가 쓸 공간을 만들어 주겠다’며 말을 걸어오는 거다. 어색할 수밖에 없다. 천천히 다가가야 한다. 종이 위에 같이 좋아하는 모양을 그려 보고, 놀이터나 도서관이 지어질 곳에 가서 그곳이 주는 느낌을 이야기해 보고, 신체를 이용해 사물 치수를 측정하는 놀이를 해보고…. 그게 우리가 진행하는 건축 설계 첫 단계의 한 사례다.”
지정우 소장이 설계를 앞두고 공간을 사용할 어린이들과 친밀감을 높이기 위한 동작 게임을 하고 있다. EUS플러스건축 제공
서 소장은 열세 살 딸, 지 소장은 열네 살 아들을 둔 아빠다. 일에만 파묻혀 가정 돌보기에 소홀했던 한 세대 위 선배들을 기억하는 두 사람은 아이,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을 무엇보다 중요하게 여기며 살아왔다.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공간 짓기에 업무의 무게중심을 둔 것은 자연스러운 결정이었다.
사진=안철민 기자 acm08@donga.com
“대형 빌딩이든 작은 동네 놀이터든 하나의 건축물을 완료하는 데 드는 고민의 무게는 다르지 않다. 아이들과 소통하면서 얻어낸 반응과 생각을 활용해 공간 설계에 대한 판단을 강화하거나 수정해 나가는 것이다.”
지난해 완공한 놀이터인 서울 용산구 원효초등학교 놀이풍경, 용암초등학교 놀이둘레길은 이들이 지향하는 ‘어린이 건축’의 방향을 잘 보여준다. 용도가 고정된 그네나 미끄럼틀 같은 놀이기구는 이곳에 없다. 흥미롭게 분절된 공간, 그것들을 잇는 다양한 동선으로 채워진 구조물이 있을 뿐이다. 지 소장은 “아이들은 스스로 공간에 어울리는 놀이를 개발하며 서로의 관계를 형성한다”고 말했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한 우려로 집 밖에 나오지 못하는 아이와 부모를 위해 ‘공간 구성해보기 키트’를 제작해 배포하고 인스타그램을 통해 의견을 나눴다. 영국 건축가 노먼 포스터, 미국 건축사무소 퍼킨스 앤드 윌도 비슷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건축가가 사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길은 좋은 건물을 짓는 일 외에도 무수히 많다고 생각한다.”
손택균 기자 soh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