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19일 오후 홍콩 이공대에서 탈출을 시도한 시위 참여 학생이 경찰에 체포되고 있다. 2019.11.20 © News1
지난해 홍콩 사회를 달군 범죄인 인도법(송환법) 반대 시위가 9일로 1년을 맞는다.
지난해 6월9일 100만명이 모여 시작된 홍콩 반정부 시위에 대한 평가는 현재 실패에 가깝다는 게 안팎의 평이다. 성과는 지지부진한데 중국 중앙정부의 감시만 더 강화됐하는 이유다.
◇ 중국 감시 강화에 기세 사실상 꺾인 듯 : 지난달 27일 국가법(중국 국가인 ‘의용군행진곡’ 모욕 행위 금지) 심의를 저지하기 위해 예고됐던 대중교통 방해 및 입법회(한국의 국회 격) 건물 포위 시위는 실패했다.
지난해 6월 9일 100만 시위를 시작으로 중심가 곳곳에서 매주 이어지던 송환법 시위는 11월 중순 경찰이 시위의 마지막 구심점인 이공대를 13일간 전면 봉쇄한 채 ‘고사 작전’을 펴면서 전환점을 맞았다.
이공대 안에 갇힌 시위대 1000여명 중 미성년자를 제외한 대부분이 체포됐고, 특히 11월19일 강경파인 크리스 탕 신임 경찰청장 취임 이후 시위대는 더욱 수세에 몰렸다.
◇ 송환법 시위 후 8891명 체포 : 11월 말 2020년 9월 입법회 전초전 성격을 지닌 구의회 선거가 압승을 거두며 잠시 분위기는 반전됐으나 중국의 감시는 계속 강화되어 갔다.
중국은 지난 1월 일종의 대사관격인 홍콩 주재 중앙연락사무소의 소장을 교체하고, 그 다음달에는 국무원 홍콩 및 마카오 문제 담당 국장을 교체했다.
체포자 수도 계속 늘고 있다. 시위가 시작된 지난해 6월부터 올해 5월29일까지 1년간 체포된 사람 수는 8891명에 달한다. 이 중 1749명이 기소됐고 100명이 유죄판결을 받았다. 손괴및 폭동죄로 최소 13명이 7일~4년형을 선고 받았다.
코로나와 함께 시위는 점차 힘을 잃어갔다. 1월1일 대규모 시위를 제외하고 모든 집회는 1~2시간 내에 진압됐고, 시위대의 온라인 토론방인 ‘LIHKG’도 이제 시위보단 재판을 받고 있거나 수감 중인 이들을 돕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경찰과 시위대가 격렬한 충돌을 빚을 것으로 예상됐던 이달 4일 톈안먼 추모 집회도 큰 소요 사태 없이 마무리됐다.
◇ 7월1일 대규모 시위 예고…열리기 힘들 듯 : 실제로 현재 중국은 지난해 송환법보다도 훨씬 강도 높은 홍콩 국가보안법(홍콩 내 반중인사 최장 30년 징역형, 중국 공안 홍콩 활동 허가)과 국가법이 동시에 추진 중이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100만, 200만 시위를 주도한 민간인권전선의 지미 샴 의원은 홍콩 반환 기념일인 다음달 1일 대규모 시위를 예고했다. 입법회 의원들은 보안법 도입 후 의원직 박탈을 우려하며 9월 입법회 선거에서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지 고심하고 있다.
◇ 전문가 “보안법 폐기 가능성 제로…시위대 의욕 상실” : 그러나 실현 가능성엔 의문이 나온다. 홍콩 씨티대 에드먼드 청와이 정치학과 교수는 “법적 위험 증가, 장기간 시위에 따른 피로 누적, 코로나19 감염 우려 등 복합적인 이유로 반정부 시위의 미래에 대해 비관적”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많은 홍콩인들은 송환법과 달리 보안법은 중국 중앙정부가 직접 추진 중이라, 폐기될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보고 있다”고 전했다.
(서울=뉴스1)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