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이 28일 정부세종청사 복지부 브리핑실에서 코로나19 중대본회의 결과 브리핑을 하고 있다. 중대본은 수도권에서 코로나19 확산 우려가 커 향후 2주간 공공·다중 이용시설 이용 중단 등 강화된 방역조치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2020.5.28/뉴스1 © News1
정부는 12일 수도권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돼 신규 확진자수가 한 자릿수로 줄어들 때까지 수도권 방역강화 조치 기간을 무기한 연장한다고 밝혔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은 이날 오전 정례브리핑을 통해 “수도권에 대한 현재 강화된 방역관리체계를 연장하기로 했다”며 “종료기한은 한정하지 않고 수도권의 환자 발생추이가 한 자리 수로 줄어들을 때까지 계속 유지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 같은 조치를 두고 박 장관은 “다시 ‘사회적 거리두기’로 전환될 경우 빚어질 수 있는 학업·생업 피해를 최소화하면서도 수도권 연쇄감염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수도권에서는 5월초 이태원 클럽 관련 집단감염 이후 경기 부천 쿠팡 물류센터, 개척교회, 방문판매 업체 리치웨이 등 집단감염 사례가 연쇄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달 28일부터 수도권에 한정해 강화된 방역조치를 시행 중이다.
박 장관은 “최근 2주간 국내 발생 환자 중 96.4%가 수도권에서 발생했다”며 “특히 집단발병 사례의 첫 환자가 밝혀졌을 땐 이미 3~4차 전파가 완료될 만큼 확산 속도가 빠르다”고 말했다.
윤우열 동아닷컴 기자 cloudancer@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