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광화문 광장에 거대한 ‘달항아리’가 등장했다. 6·25전쟁 70주년을 기념해 강익중 작가와 UN참전국 어린이 1만2000명이 협업해 만든 설치미술 작품 ‘광화문 아리랑’이다. 높이 8m에 이르는 정육면체 형태에는 4면에 달항아리가 그려져 있다. 위 아래 두 개의 그릇이 모여 달항아리 형상을 이루는데, 6·25 70주년을 상징하는 뜻에서 70초마다 90도씩 회전하며 움직이는 키네틱 조각이다.
광화문광장에 들어선 설치미술작품 \'광화문 아리랑\'
‘달항아리’ 작가로 유명한 재미 설치작가 강익중은 2007년 12월에는 광화문 복원공사 현장에 2611개의 베니어합판에 달항아리를 그려넣어 모자이크처럼 엮은 대형 가림막을 선보인 바 있다. 강익중 작가는 “위쪽과 아래쪽을 별도로 만든 뒤 불가마를 통과해서 제작되는 달항아리는 너와 나, 남과 북, 나아가 전 세계를 연결하고 화합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설명한다.
강익중 작가의 6.25 전쟁 70주년 기념 설치작품 ‘광화문 아리랑’
2007년 광화문 가림막으로 설치된 강익중 작가의 ‘광화문에 뜬 달’
백자 달항아리는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자기”라고 찬사를 보냈고 세계적 도예가인 버나드 리치도 “나는 행복을 안고 갑니다”라며 예술적 가치를 인정한 바 있다.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당시에는 피겨 여왕 김연아가 달항아리 모양의 성화대에 불을 붙여 지구촌 70억 여명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달항아리의 매력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전시회도 열리고 있다. 서울 강남구 언주로 갤러리나우에서 30일까지 진행되는 ‘우리는 왜 달항아리에 매료되는가’. 강익중, 구본창, 김용진, 석철주, 신철, 오만철, 이용순, 전병현, 최영욱 등 9인의 대표적인 달항아리 작가가 참여했다. 전통 달항아리를 재현하는 도자기 작가부터 달항아리를 캔버스에 그리고, 사진으로 촬영하고, 철심과 도자부조, 한지부조로 달항아리를 형상화하는 등 달항아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다양한 작품이 전시된다.
구본창 작가의 달항아리
이후 구본창은 유럽, 일본 등 전세계를 돌면서 박물관 수장고나 개인 컬렉션 유리장 속에 있는 조선백자 달항아리를 찾아다녔다. 그는 “한 사람의 인물사진을 촬영하듯 달항아리를 찍었다. 단순한 도자기 이상의 혼을 가진 그릇으로서 느껴졌다. 우리의 마음을 담고, 만든 이의 마음을 담을 수 있는 용기(容器)로서 내면의 기운을 표현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미술사학자 최순우는 투명한 유약 아래 흰빛과 일그러진 원이 어우러진 달항아리의 ‘무심한 아름다움’에서 한국미의 뿌리를 보았다.
수화 김환기도 달항아리의 불가사의한 미감에 심취해 여러 점의 그림을 남겼다. 그는 이러한 글을 남겼다. “내 뜰에는 한 아름 되는 백자 항아리가 놓여 있다. 달밤일 때면 항아리가 흡수하는 월광으로 온통 달이 꽉 차 있는 것 같다. 한 아름 되는 항아리를 보고 있으면 촉감이 동한다. 싸늘한 사기로되 따사로운 김이 오른다. 사람이 어떻게 흙에다가 체온을 넣었을까.”
희뫼요 달항아리
도예가인 신철 작가는 불가마에서 굽는 전통방식으로 1000점이 넘는 달항아리를 만들어왔다. 그는 달항아리의 아름다움을 어머니의 지극한 성품에 비유했다. “고려청자가 아무 공간에서나 잘 어울리지 못하는 귀족적인 미라면 달항아리는 어느 공간 어느 자리에 놓아도 함께 화합이 가능한 친숙함이 있다. 그러면서도 그 놓여진 공간감이 건축의 공간만큼이나 여유로움을 발하는 것도 달항아리만의 미덕이다. 어머니의 성품이다.”
신철 작가의 방산백자
석철주 달항아리
“달항아리는 두 개의 그릇을 합쳐 만들게 됩니다. 접착면인 허리 부분이 불속에서 서로 충돌하면서 생동감 있는 조형성을 만들어 내지요. 그릇이 포개지면서 물레방향이 어긋나서 벌어지는 양상입니다. 불속에서 그릇의 흙은 물레방향으로 운동을 하게 마련입니다. 보름달 직전의 이지러진 모습이 생겨나는 이유죠.” (신철 도예가)
강익중 ‘광화문 아리랑
최영욱 작가는 달항아리 표면의 무수히 많은 빙열(氷裂·도자기 표면의 균열)을 마치 도를 닦듯이 반복해서 그려낸다. 그는 “나는 달항아리를 그리는 것이 아니다. 달항아리처럼 살고 싶은 내 얘기를 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한다.
“달항아리와 조용히 만나본 적이 있는가. 지극히 단순해 보이지만 극도로 세련된 그 피조물을 먹먹히 보고 있노라면 그건 이미 내 안에 들어와 내가 되어 버렸다.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 어떻게 사는 것이 바른 것인가를 그는 이미 나에게 말해주고 있다. 내가 그린 ‘Karma’는 선에 그 의미가 담겨 있다. 그 선은 도자기의 빙열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의 인생길이다. 갈라지면서 이어지듯 만났다 헤어지고 비슷한 듯하며 다르고, 다른 듯 하면서도 하나로 아우러진다.”
달항아리 작가인 도예가 권대섭 씨는 “달항아리는 입체에서도 제일 추상이다. 저는 전통을 잇고 싶어서가 아니라, 가장 현대적이기 때문에, 가장 미니멀하기 때문에, 가장 완벽한 추상이기 때문에 달항아리를 한다”고 말했다.
권대섭 도예가의 말처럼 달항아리는 끊임없이 현대적으로 재해석되고 있는 대상이다. 김용진은 철사를 침처럼 세워서 달항아리의 모습을 재현해냈다. 그의 작업은 무한한 반복으로 얻어내는 결과다. 이주은 미술평론가는 그의 작업에 대해 “반복은 무의미가 아니다. 평범한 반복 속에 인간의 존재 이유가 담겨 있으며, 창조의 가능성이 내재돼 있다”고 말한다.
●달항아리 도자기, 그림, 사진 중에 어느 것이 가장 비쌀까
전병현 ‘블러썸’
현대 작가들이 만든 달항아리도 수백~수천만원 대에 팔린다. 권대섭 작가의 달항아리는 2018년 10월 영국 런던 경매에서 5만2500파운드(약 7700만원)에 낙찰됐다. 이번 갤러리 나우에서 전시된 신철, 이용순 작가의 지름 40cm 이상의 달항아리는 약 1000~1200만원 대의 가격에 거래된다.
최영욱 ‘Karma’
전승훈기자 raph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