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백신이나 치료제에 대한 기대에도 불안감을 안겨주는 최신 연구 결과들이다. 최근 중국에서 재확산 중인 바이러스는 우한에서 시작된 1차 유행 바이러스의 변종(‘D614G’)으로 코로나 완치 환자도 면역이 안 되고 항체 치료와 백신 개발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초기 바이러스보다 침투 능력은 2.4배, 전염성은 10배 강해졌다. 우한 바이러스를 기반으로 한 현재의 백신 개발 경쟁은 쓸모없어질 수도 있다는 얘기다.
인류가 20세기 초에야 바이러스의 존재를 발견했을 정도로 바이러스의 세계는 미지의 영역이 많다. 1918∼1919년 5000만 명을 희생시킨 스페인독감의 원흉이 조류인플루엔자A(H1N1) 바이러스였음은 2005년에야 밝혀졌다. 인류에게 치명적 상흔을 남긴 세균·바이러스들은 대부분 어느 지역의 풍토병이 다른 대륙으로 확산된 것들이다. 가령 콜레라는 인도 갠지스강 유역, 에볼라 출혈열이나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은 아프리카 일부 지역의 오랜 풍토병이었다.
코로나와 함께 사는 세상은 앞으로도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세계는 언택트(untact·비대면)와 4차 산업혁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방역과 경제가 조화된 ㉡‘뉴 노멀(New Normal·과거와 다른 새로운 일상)’이 부상했고 코로나가 사라지더라도 이전 세상으로 돌아가지는 않을 것이다. 빌 게이츠는 최근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극복의 힘을 인류의 ‘혁신 능력’에서 찾자고 했다. 다만 전염병이 몰고 온 ‘단절’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남는다. 국경이 닫히고 교류가 줄며 사람 간 만남과 접촉이 회피되는 세상에서, 인류는 또 어떤 ‘즐거운 일’을 찾아낼까.
동아일보 6월 24일자 서영아 논설위원 칼럼 정리
칼럼을 읽고 다음 문제를 풀어 보세요.
1. ‘㉠치사율’과 관련된 문제입니다. 어떤 지역에서 전염병이 유행할 때 전체 감염자 수가 1000명이고 치사율은 30%라면, 사망한 사람의 수는 몇 명일지 계산해 아래에 적으세요.
2. 코로나19 이후 발생한 ‘㉡뉴 노멀’의 사례로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세요.
① 여러 사람과 찌개를 먹을 때 아버지가 앞접시에 각자 덜어먹자고 제안했다.
② 나는 열이 38도까지 오르자 해열제를 먹었다.
③ 어머니가 병원에 가지 않고 집에서 의사와 영상통화를 하며 건강을 검진했다.
김재성 동아이지에듀 기자 kimjs6@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