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재난지원금 효과? 고기값만 올렸다…물가상승 기여 ‘미미’

입력 | 2020-07-02 11:33:00

© News1


5월 중순부터 ‘전 국민’에 긴급재난지원금이 지급됐지만 올 6월까지도 물가 상승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물가 등의 상승률이 여전히 저조한 가운데 축산물 가격만 10.5% 오르면서 재난지원금이 ‘고기값만 올려놨다’는 지적도 나온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4.87(2015년=100)로 1년 전과 같았다. 물가 상승률이 0.0%를 기록한 것이다.

지난 5월 소비자물가가 국제유가 약세 여파로 ‘마이너스’ 물가 상승률(-0.3%)을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6월엔 ‘반등’한 셈이다. 하지만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보면 -0.01%로, 소비자물가가 상승세로 전환됐다고 보기는 어렵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2개월 연속 1%를 밑돌다 올 들어 1~3월 1%대를 회복했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로 4월 다시 0%대로 떨어진 이후 5월에는 0.3% 하락하며 8개월만에 ‘마이너스’ 상승률을 나타냈다.

저물가 장기화로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졌지만 정부는 최근 유가 반등과 재난지원금 지급 효과가 더해지면서 물가가 다시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5월 중순부터 지급을 시작한 9조6176억원의 재난지원금이 시장에 풀리면서 물가 상승에 기여할 것이라는 기대였다.

재난지원금 지급으로 소매판매가 늘어나는 등 일부 효과는 있었다. 1일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5월 소비를 나타내는 소매판매는 전월대비 4.6% 증가했다.

소매판매는 앞서 4월에도 5.3% 증가를 나타내면서 통계작성이 시작된 2000년 이후 처음으로 두달 연속 4% 이상 증가세를 기록했다. 정부는 이를 두고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이 같은 소매판매 회복이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으면서 재난지원금의 효과도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지난달 농축수산물 물가 상승률은 4.6%를 기록했는데 봄철 이상 기온으로 작황이 부진했던 채소 가격이 오르는 등 다른 요인을 감안할 때, 순수하게 재난지원금 지급 효과로 보기는 어렵다는 지적이다.

또 지난달 10.5%의 물가 상승률을 나타낸 축산물도 그동안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집밥’ 수요 증가로 이전부터 오름세를 타던 물가에 재난지원금 효과가 일부 보태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올초 아프리카돼지열병 등의 여파로 소비 부진을 겪었던 돼지고기는 국내 코로나19 확산 초기인 3월 초부터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코로나19 감염증 확산에 따른 소비 부진으로 지난 2월 7일 1㎏당 2986원까지 떨어졌던 돼지고기 도매가(탕박 기준)는 그달 14일 3187원을 기점으로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져 이달 들어 5000원대를 나타내고 있다.

재난지원금이 감염병 사태에 따른 집밥 수요 증가로 꾸준히 늘고 있던 축산물 수요를 더 이끌어낸 부분을 감안할 때 ‘고기값을 올려놨다’는 말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린 셈이다.

더 큰 문제는 7월 이후부터는 재난지원금의 ‘고기값 인상 효과’도 기대할 수 없다는 점이다. 행정안전부가 지난달 14일까지 집계한 신용·체크카드 재난지원금 사용액은 7조9275억원으로 지급액의 82.4%가 이미 시장에서 사용됐다.

6월말까지 사실상 대부분의 재난지원금이 시장에서 모두 사용됐을 것을 고려하면 7월부터는 소비를 촉진할 큰 요인 하나가 사라지는 셈이다. 정부도 7월 물가 상승 요인으로 재난지원금을 꼽지 않으면서 사실상 더 이상의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 관계자는 “이번 달 물가 상승요인으로는 지난달 상승한 국제 유가, 수요 증가에 따른 소매판매 회복 등이 있다”며 “하방요인으로는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수요 위축, 올해부터 줄어든 공공서비스 가격 등을 들 수 있다”고 말했다.

(세종=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