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백선엽 장군 15일 영결식]
故 백선엽 장군 추모 행렬 육군장으로 치러지는 고 백선엽 장군의 장례 나흘째인 14일 서울 광화문광장 시민분향소에 시민들의 추모 행렬이 줄을 잇고 있다. 분향소에는 이날 오전까지 2만여 명이 다녀갔다. 15일 진행되는 백 장군의 영결식에는 정경두 국방부 장관, 서욱 육군참모총장,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영결식 뒤 백 장군은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된다. 원대연 기자 yeon72@donga.com
서욱 육군참모총장(장의위원장) 주관으로 오전 7시 30분부터 50분간 유족과 정경두 국방부 장관, 역대 육군총장 등 각계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약력 보고, 추모 영상 시청, 조사 및 추도사 순으로 진행된다. 이어 고인은 군사경찰 차량의 호위 속에 국립대전현충원 제2장군 묘역으로 운구돼 오전 11시 반 안장식을 갖고 영면에 들어간다.》
“장군아버지….”
6·25전쟁 때 가족을 잃은 최모 씨(78·여)는 조화가 들어서기도 전인 11일 이른 아침 백선엽 장군의 빈소가 마련된 서울아산병원을 찾았다. 그는 영정 사진이 놓인 빈소에서 헌화를 하며 눈물을 훔쳤다.
최 씨는 조문을 마친 뒤 접견실에서 백 장군의 부인 노인숙 여사(96)를 만나 “어머니, 앞으로도 효도하겠습니다”라고 힘줘 말했다. 이날 빈소를 찾았던 박모 씨(75)도 기자에게 “아버지는 우리가 지금까지 살아올 수 있게 해준 영웅”이라고 말했다.
1951년 12월 25일 백선고아원에 머물던 아이들이 광주 상무대 비행장에 도착한 백선엽 장군을 둘러싸고 환영하는 모습. 유족 관계자 제공
고인은 한국군 최초로 4성 장군에 오른 뒤에도 종종 보육원을 찾았다. 최 씨는 “아버지는 오실 때마다 아이들을 두 팔로 부둥켜안고 반가워했다”고 기억했다. 보육원 출신들이 아직도 백 장군을 “장군아버지” “대장아버지”로 부르는 것도 보육원 인근 광주 상무대 비행장에 도착한 고인을 마중 나간 기억 때문이다. 박 씨는 “장군 특유의 과묵함이 있었지만 수많은 전투를 치른 군인으로 느껴지지 않을 만큼 인상이 선했다”고 회상했다.
최 씨와 박 씨는 6·25전쟁이 막바지로 치닫던 1953년 봄 이후 50여 년이 흐른 뒤에야 백 장군과 다시 만났다. 빨치산 토벌 과정에서 부모를 잃은 사실을 자녀들에게 알리고 싶지 않아 수십 차례 주저했기 때문이다. 박 씨는 “혹여나 아버지를 찾으면 그분께 폐가 되지 않을까 염려해 엄두조차 못 낸 점도 있다”고 말했다. 최 씨는 “신문에 나온 아버지를 보고 (고인 사무실이 있던) 전쟁기념관으로 불쑥 전화를 걸었더니 ‘○○예요’라는 말에 바로 기억을 하시더라”며 감격해했다.
보육원 출신들이 만든 ‘백선회’ 회원이기도 한 두 사람은 6·25전쟁 60주년이었던 2010년 5월 8일 어버이날 백 장군과 다시 만난 순간을 또렷이 기억했다. 환갑을 훌쩍 넘긴 백선회 회원 10여 명은 고인을 만나 “그동안 찾아뵙지 못해 죄송하다”며 고인을 끌어안고 눈물을 흘렸다. 박 씨는 “아버지는 연신 ‘잘 성장해줘서, 건강하게 살아줘서 고맙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신규진 기자 newji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