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미세먼지(PM2.5) 고농도 현상과 열섬현상을 완화해주는 도시숲. 동아일보DB
강은지 정책사회부 기자
14일 정부가 내놓은 그린 뉴딜 3대 분야 8개 추진과제 중 가장 먼저 나오는 분야가 바로 ‘도시·공간·생활 인프라 녹색전환’이다. 2025년까지 미세먼지 차단숲 6.3km², 생활 밀착형 숲 216곳, 자녀안심 그린숲 370곳을 조성하겠다는 약속이 포함돼 있다. 정부는 도심 내 녹지 조성 이유에 대해 “도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미세먼지를 줄이고 열섬 현상을 완화할 수 있도록”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불과 하루 뒤 더불어민주당과 국토교통부는 부동산 대책 관련 당정협의에서 그린벨트 해제를 포함해 도심 용적률 규제 완화 등의 공급 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17일에는 김상조 대통령정책실장이 “이미 당정 간 의견을 정리했다”며 그린벨트 해제를 포함한 주택 공급 확대 방안을 검토하고 있음을 알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양립하기 어려운 사인을 동시에 털컥 내놓는 것은 부적절하다. 그린 뉴딜 추진 의지에 진정성을 보여주려면 적어도 녹지 조성과 그린벨트 해제를 어떻게 병행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모습을 먼저 보여줘야 한다. 특히 그린벨트 해제는 장기적으로 득실을 따져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문제다. 그린벨트를 해제해 주택 공급 물량을 늘리면 당장의 주거 문제에는 도움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기후위기가 가속화하는 상황에서 그나마 그린벨트가 줄여주던 초미세먼지(PM2.5) 고농도 현상과 도심 열섬 현상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따져봐야 한다. 정수종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서울의 그린벨트를 해제하면 도심 풍속이 정체돼 미세먼지 고농도 현상이 악화될 수 있다. 굳이 그린벨트를 없애야 한다면 사라지는 녹지만큼의 대체 녹지를 만든다는 식의 사회적 합의를 담은 중장기 정책이 수반돼야 한다.
강은지 정책사회부 기자 kej09@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