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안팎 “美본토 병력 파견 줄일듯”… 美 전략자산 전개 축소 가능성도
하지만 미 대선을 3개월 앞두고 지지율이 저조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주독미군에 이어 실제로 주한미군 감축을 ‘재선용 타깃’으로 삼을 수도 있다는 관측도 있다.
백악관이 감축안을 보고받았다는 시기(3월)도 의미심장하다. 당시 한국은 지난해 분담금(1조389억 원)에서 13% 인상한 뒤 2024년까지 연간 7∼8%씩 인상해 마지막 해에 13억 달러 수준의 방위비를 내겠다고 제의해 한미 실무협상단이 잠정합의까지 한 상태였다.
트럼프 행정부가 실제로 미군 감축 카드를 꺼내든다면 주한미군 순환배치의 순차적 축소가 군 안팎에선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9개월 주기로 본토에서 한반도로 교대 배치되는 미군 병력(5000명 안팎)과 무기장비를 점차 줄여나가는 방식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군 소식통은 “대북 방어만을 위해 일본, 독일 다음으로 많은 미군을 한반도에 고정 배치하는 것을 (미국이) 재고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중국 견제를 위해 주한미군을 감축하고, 주일미군(해·공군 위주)을 보강하는 방안도 검토될 수 있다는 것이다.
미 전략자산의 전개 축소 가능성도 제기된다. 또 다른 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은 그간 전략자산 전개 비용을 방위비 증액 요인으로 콕 찍어왔다”며 “방위비 합의가 불발되면 괌과 본토의 전략폭격기, 주일미군의 항모타격단 등 전략자산 투입을 최소화할 여지도 없지 않다”고 말했다.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