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경 국가교육회의 의장이 30일 ‘교원 양성체제 개편’ 사회적 협의 추진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김수연 정책사회부 기자
이번 발표를 보면서 2018년 대입제도 개편안 공론화 추진 과정이 떠올랐다. ‘수시냐 정시냐’를 두고 찬반이 팽팽히 맞서는 상황에서 국가교육회의는 4가지 대입 모형 중 국민이 가장 선호하는 1개 모형을 공론화 절차로 결정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국가 교육의 큰 그림을 그려야 할 국가교육회의가 사실상 ‘여론조사 기관’으로 전락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쏟아졌다.
당시 공론화 과정에서 가장 많은 지지를 받은 대입 모형은 ‘정시 선발 45% 이상’. 그러나 그해 교육부는 2022학년도 대입 정시모집 비율을 30% 이상으로 높이는 방침을 확정했다. 숱한 논란과 사회적 비용을 감수하며 숙의 과정을 거쳤지만, 그 권고안이 실제 대입 개편안에 100% 반영되지도 못한 셈이다. 교육계 안팎에선 ‘공론(公論)이 아니라 공론(空論)’이라는 반응이 나올 정도였다.
학계에선 ‘공론화 만능주의’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 서울의 한 사범대 교수는 “교원 수급 계획은 이해관계에 따른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정밀한 추계와 분석을 토대로 고민해야 할 문제”라며 “정책에 대한 의견 수렴은 필요하지만 대입 개편 때와 같은 선호도 투표 방식으로 흘러가선 안 된다”고 말했다. 국가교육회의의 정책 숙의 결과는 11월에 발표된다. 이번에도 ‘숙의만 하다가 끝나버렸다’는 비판이 나오지 않기를 바란다.
김수연 정책사회부 기자 syki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