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발생한 춘천 의암댐 참사는 집중호우 속에서 무리하게 시도한 작업이 초래한 인재였다.
댐은 당일 오전부터 수문 9개를 열고 초당 1만677t의 물을 방류하면서 자칫 사고의 위험이 고조된 상태였다.
급히 투입된 인력이 빠른 급류에 떠내려가는 수초섬을 지키려다가 배가 세척이나 뒤집혔다.
수초섬 고정에는 성공했지만, 물살이 워낙 강해서 이내 풀려버리자 더 이상의 작업을 포기한 채 복귀하다가 배가 전복된 참사였다.
더구나 십자포화처럼 쏟아지는 물폭탄을 맞은 강원도에 실종자와 이재민이 속출하고 있는 상황에서 안전에 부주의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세척의 배 가운데 춘천시 행정선(환경감시선)에 오른 5명은 물에 떠내려온 쓰레기를 청소하는 춘천시청 소속 기간제 근로자들이어서 안전수칙에 대한 훈련이 돼 있었는지 의문이다.
재난 상황에서 지자체는 근로자의 안전한 작업을 위한 매뉴얼이나 지침을 갖고 있는지도 점검해야 할 대상이다.
특히 철원에서만 1148명의 주민이 생필품과 옷가지만 챙긴 채 급히 몸만 피신했다고 한다.
이재민이 대피해있는 철원의 근남초등학교 체육관의 재난구호쉐셸터는 2m 간격은커녕 다닥다닥 붙어있어서 코로나 감염 우려마저 나온다.
지금 도처에 안전불감증이 팽배하다.
강원도와 각 시군은 비상 근무를 3단계까지 올리고, 재해 예상 지역의 통제를 강화했다.
그러나 의암댐 참사에서 보이듯, 지자체만의 대응에는 한계가 있다.
사고가 발생한 이 날 오후 정세균 국무총리와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도 뒤늦게 의암댐을 찾아 사고 관계자들을 질책했다고 한다.
실종자 가족들은 유실되는 구조물 작업에 투입돼 인명 피해를 보았다며 정 총리에게 항의하기도 했다.
정부는 사고가 난 후 현장을 방문하는 사후약방문식 대응에 그칠 것이 아니라 하루라도 빨리 강원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야 한다.
하트 모양의 인공 수초섬을 지키려다 소중한 생명이 희생되는 인재가 또 다시 반복되어선 안 된다.
[강원=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