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의 신냉전에 대비, 마오쩌둥 지구전론 본받아 ‘필살기’ 전략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베이징 향산 혁명기념관의 마오쩌둥 동상 앞에서 연설하고 있다. [China Daily]
‘중국필망론’과 ‘중국속승론’
특히 마오는 중일전쟁이 한창이던 1938년 5월 26일부터 6월 3일까지 이곳에서 열린 항일전쟁연구회에 참석해 ‘지구전론(持久戰論)’이라는 군사논문을 발표하고 항일전략 지침을 제시했다. 그는 ‘중국필망론(中國必亡論)’과 ‘중국속승론(中國速勝論)’을 비판하면서 군사력과 경제력이 월등한 일본에 맞서 유격전을 바탕으로 한 장기전으로 승리를 쟁취해야 한다는 전략을 강조했다.
세계 유일 초강대국인 미국과 본격적으로 신냉전에 돌입한 중국에서 지금 당시와 같은 두 가지 주장이 나오고 있다. 공산당 지도부 중 유화파는 미국의 첨단과학, 공업, 금융 및 군사력이 월등하다며 중국이 대항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중국이 미국과 정면 대결할 경우 패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반면 강경파는 중국이 이미 여러 분야에서 미국을 앞서고 있는 만큼 미국의 공세에 강력하게 맞서야 한다는 입장이다.
양측 입장이 팽팽한 가운데 중국 공산당은 7월 30일 시진핑 국가주석이 주재한 가운데 정치국 회의를 열고 대미항전 전략을 논의했다. 시 주석은 이 자리에서 “국제환경이 날이 갈수록 복잡해지고 불안정성과 불확실성이 매우 증가하고 있다”며 “우리 앞에 놓인 많은 문제는 중장기적인 것이라 반드시 지구전으로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에선 미국과 무역전쟁이 벌어졌을 때 일부 관영매체를 중심으로 지구전이 거론되긴 했지만, 시 주석이 이를 직접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를 감안할 때 중국 공산당 지도부가 코로나19 사태 이후 최악으로 치닫고 있는 미·중 갈등과 대립 상황에 대한 향후 대응 전략으로 마오의 지구전론에 따른 장기전을 선택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국력에 대한 냉철한 분석
시 주석이 강조한 지구전론의 전략은 미·중 양국 국력에 대한 냉철한 분석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시 주석은 미국이 경제력과 군사력 면에서 월등하고 첨단과학기술이 앞선다는 객관적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중국이 가진 장점, 다시 말해 14억 명의 인구, 방대한 시장과 세계 2위로 성장한 경제규모를 고려하는 전략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시 주석이 이러한 전략을 선택한 것은 시간이 지날수록 중국이 미국보다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도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시 주석과 중국 공산당 지도부가 장기전에 나선 또 다른 이유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중국만이 주요 국가 가운데 유일하게 경제회복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은 미국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코로나19 방역 실패로 대공황 이후 경제가 최악의 상황을 보이는 등 앞으로 상당 기간 어려움을 겪을 것이 분명하다는 점도 고려한 듯하다. 실제로 중국 공산당 간부 가운데 상당수는 중국이 앞으로 미국을 제치고 국내총생산(GDP) 기준 세계 1위가 될 것이라면서 ‘시간은 내 편’이라고 확신하고 있다. 중국 공산당 정치국이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제도는 강대한 생명력을 갖고 있다”고 자평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국제 대순환론→국내 대순환론
중국 공산당 지도부인 정치국 상무위원들이 주요 정책을 논의하고 있다. [China Daily]
서방의 중국 경제 전문가들은 이런 전략이 코로나19 사태 및 미국과의 신냉전에 대응해 지구전을 상정한 경제운영의 핵심 정책들이라고 분석했다. 미국 맥쿼리증권은 “중국 공산당 지도부가 새로운 세계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전략을 추진하기로 했다”며 “이는 한마디로 내수 우선 전략”이라고 지적했다. 일본 노무라증권도 “중국 공산당 지도부가 내세운 새 전략의 핵심은 사실상 수입 대체(혹은 자급자족)와 내수 확대를 의미한다”고 해석했다. 중국 공산당 지도부는 이번 정치국 회의의 결정을 미국 대선 직전인 10월에 개최될 제19기 중앙위원회 5차 전체회의(19기 5중 전회)에서 확정할 계획이다. 이는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하든, 민주당 조 바이든 후보가 당선하든 상관없이 미국과 장기전을 벌이겠다는 중국 공산당 지도부의 의지에 따른 것이다.
보건건강공동체 구축으로 우군 만들기
중국은 이와 함께 대외전략으로 자국이 주도해 만든 상하이협력기구(SCO)를 중심으로 ‘보건건강공동체’를 구축할 계획이다. 중국의 의도는 미국이 코로나19 책임론을 제기하고 세계보건기구(WHO)도 한통속이라고 비난한 데 맞서 우군을 확보하려는 것이고 볼 수 있다. 미국을 겨냥해 만든 SCO 회원국은 중국과 러시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인도, 파키스탄 등이다.
SCO는 전 세계 인구의 44%에 달하는 인구 31억 명의 지역협의체로, 세계경제에서 비중도 30%에 달하며 핵보유국도 4개국이나 된다. 이들 국가는 인도를 제외하고 대부분 중국이 추진해온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중국이 SCO를 중심으로 보건건강공동체를 구축할 경우 코로나19 사태 이후 정체된 일대일로 프로젝트 재개와 맞물려 국제사회에 영향력을 확대할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 미국과 신냉전에 대응해 추진하는 중국의 장기전과 우군 만들기 전략이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장훈 국제문제 애널리스트 truth21c@empas.com
《이 기사는 주간동아 1252호에 실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