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2년 2월 18일
플래시백
1920년대 초 경성의 낙원동 재동 이곳저곳에 목조 2층집이 많았답니다. 어느 기다란 2층집에는 나무간판이 죽 내걸려 있었다죠. 북풍회 서울청년회 등이라고 새겨진 나무간판은 비바람에 주름살이 잡혀 있었답니다. 공개적인 활동을 하는 사회주의 성향의 단체들이었죠. 국내에서는 1920년 조선노동대회가 출범해 프롤레타리아의 이익을 위한 싸움의 첫발을 내딛었습니다. 4년 뒤 경성노동회로 간판을 바꿔 달죠. 같은 해 일본에서 북성회로 출발한 조직은 1922년 남선노동동맹으로, 이후 북풍회로 변신했습니다. 서울청년회는 민족주의 세력이 주도한 조선청년회연합에서 떨어져 나왔죠. 1922년 4월의 일입니다.해외에서는 3‧1운동이 일어나기 한 해 전인 1918년 러시아 연해주 하바롭스크에서 한인사회당이 창립됐습니다. 한국 최초의 사회주의단체로 꼽히죠. 위원장은 이동휘였고요. 한인사회당 일부 지도자들은 적위대를 구성해 러시아의 극동 소비에트 정부 편에서 백군과 맞서 싸우기도 했습니다. 이동휘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총리에 취임하기 위해 중국 상하이로 온 뒤에도 사회주의 조직을 결성했습니다. 여기에 여운형 신채호 김두봉 등이 참여했죠. 상하이파 고려공산당의 전신인 셈입니다. 1920년 초의 일이었죠.
1920년대 초 경성에 여기저기에 나붙었던 나무간판들. 사회주의 성향의 공개 조직 문패들이다. 왼쪽부터 북풍회는 1920년 북성회로 출범한 단체가 바뀐 이름이고 경성노동회는 역시 1920년 조선노동대회에서 시작된 조직이었다. 서울청년회는 민족주의 성향의 조선청년회연합을 1921년 박차고 나왔고 경성청년회는 무산자운동의 실제 지식을 가르치기 위해 1923년 발족했다
이처럼 1920년대 초에는 안팎에서 붉은 물결이 넘실댔습니다. 민족주의 진영에서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머리가 무거웠죠. 동아일보 1922년 2월 18일자 1면 사설 ‘사회주의적 운동에 대하여’는 이런 고민을 다룬 논평이었습니다. 사설은 시베리아와 만주 상하이의 동포사회에서 공산주의가 퍼져 비밀회의를 열고 비밀계획을 세워 장래 운명을 개척하는 모양이라고 소개합니다. 지금 우리는 알고 있지만 그때는 해외 동포사회의 동향을 정확하게 취재할 수 없는 형편이었기 때문에 단언하지는 않았죠. 하지만 사회주의 움직임이 없지는 않을 것이며 장차 큰 세력을 이룰 것으로 내다봤죠.
그 이유는 먼저 조선인의 70, 80%를 차지하는 소작인들의 생활이 참담한 지경이었기 때문입니다. 이들의 생활을 개선하려면 농업생산력을 높이고 1년 소출을 오롯이 가져갈 수 있게 해야 했죠. 소작인들이 각성하면 경자유전(耕者有田)의 사회주의적 의식이 당연히 생길 것으로 진단했습니다. 상공업에서도 자유방임 자본주의 아래에서는 우승열패가 진행돼 자본가는 갈수록 잘 살고 노동자는 점점 못사는 현상이 나타난다고 봤죠. 소규모 자본을 가진 조선인은 노동자로 전락하고 결국 조선인은 모두 노동자가 돼 일본인 자본가에 맞서게 된다고 예상했습니다. 이러면 사회적 생산을 주장하는 사회주의 운동이 일어나게 된다는 분석이었죠.
러시아 혁명을 성공시킨 블라디미르 레닌의 사망 1주기인 1925년 1월 사회주의 성향 단체들이 각기 추도회를 열었다. 가운데는 생전의 레닌이고 1번은 서울청년회, 2번은 화요회, 3번은 북풍회의 추도회 사진이다. 4번은 여자청년회 발회식 모습.
그렇지만 사설은 무작정 사회주의 파도에 방파제를 쌓자고 결론을 내리지는 않았습니다. 먼저 할 일은 사회주의의 핵심과 정신을 제대로 연구하는 것이라고 했죠. 사회주의에 취약한 위치에 있는 조선인이 살아남는 길은 현실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최선의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이 판단은 이후 동아일보 지면에 어떻게 나타났을까요?
이진기자 leej@donga.com
원문
社會主義的(사회주의적) 運動(운동)에 對(대)하야爲先(위선) 참된 硏究(연구)가 必要(필요)
吾人(오인)은 勿論(물론) 此(차) 報道(보도)의 適確與否(적확여부)를 不知(부지)하며 그 비록 事實(사실)에 近(근)하다 할지라도 果然(과연) 如何(여하)한 程度(정도)에까지 此(차) 主義(주의)가 在外同胞(재외동포)의 精神(정신)을 支配(지배)하며 그 熱血(열혈)을 沸騰(비등)케 하며 따라 如何(여하)한 程度(정도)에까지 그 實地(실지)의 運動(운동)이 達(달)하얏는지 未詳(미상)하거니와 大槪(대개) 朝鮮人(조선인)의 生活狀態(생활상태)와 四圍事情(사위사정)과 民族的(민족적) 特性(특성)과 世界思潮(세계사조)의 大勢上(대세상)으로 觀察(관찰)하야 如此(여차)한 運動(운동)이 必無(필무)하리라 斷言(단언)하지 못하며 單(단)히 必無(필무)하리라 推側(추측)하지 못할 뿐 아니라 將來(장래)의 一大勢力(일대세력)을 成(성)할 줄을 確信(확신)하나니 이제 吾人(오인)이 社會主義的(사회주의적) 運動(운동)에 對(대)하야 論評(논평)을 試(시)하고자 함은 單(단)히 在外同胞(재외동포)의 此(차) 運動(운동)에 對(대)한 一時的(일시적) 感想(감상)이 아니라 遙(요)히 將來(장래) 朝鮮民族(조선민족)의 順應(순응)할 바 大勢(대세)를 考察(고찰)하야써 그 歸結(귀결)을 論(논)하고자 함이로다.
첫재 朝鮮人(조선인)의 生活狀態(생활상태)가 如何(여하)한가. 在外同胞(재외동포)는 勿論(물론)이어니와 在內(재내) 一般民衆(일반민중)의 生活狀態(생활상태)로 論(논)할지라도 그 大部分(대부분)이 勞働者(노동자)의 生活(생활)이라 할 수 잇스니 工業(공업)에 對(대)한 勞働者(노동자)는 同業(동업)이 幼稚(유치)한 關係上(관계상) 擧(거)하야 言(언)할 程度(정도)에 達(달)치 못하얏스나 朝鮮人口(조선인구)의 七八割(칠팔할)을 占領(점령)한 者(자)는 小作人(소작인)이오 그 小作人(소작인)의 生活(생활)이 慘憺(참담)한 境遇(경우)에 處(처)함은 世人(세인)의 熟知(숙지)하는 바―라. 此(차) 小作人(소작인)의 生活(생활)을 改善(개선)하야써 人格者(인격자)에 相當(상당)한 向上發達(향상발달)의 機會(기회)를 與(여)하랴면 不可不(불가불) 그 生産力(생산력)을 增加(증가)하는 同時(동시)에 그 勞働(노동)의 結果(결과)를 完全(완전)히 獲得(획득)케 하는 以外(이외)에 根本的(근본적) 道理(도리)가 無(무)하니 此(차) 理(이)를 覺(각)하는 日(일)이 不遠(불원)하다 하면 普通敎育(보통교육)이 發達(발달)하야 그 人格(인격)과 그 權利(권리)에 對(대)한 自覺(자각)이 不可避(불가피)의 事實(사실)이 된다 하면 土地問題(토지문제)에 對(대)하야 社會主義的(사회주의적) 見解(견해)가 生(생)할 것은 勿論(물론)이며
見地(견지)를 轉(전)하야 商工業(상공업)에 就(취)하야 論(논)할지라도 目下(목하) 資本主義的(자본주의적) 自由競爭下(자유경쟁하)에 在(재)하야 優勝劣敗(우승열패)의 原則(원칙)이 適用(적용)되고 따라 富者益富(부자익부)하며 貧者益貧(빈자익빈)하야 資本(자본)과 知識(지식)이 豊富(풍부)하고 同時(동시)에 政權(정권)을 持(지)하는 者(자) 能(능)히 繁榮(번영)하되 그 不然(불연)하는 者(자)는 畢竟(필경) 社會(사회)의 淘汰(도태)를 當(당)할 것이 分明(분명)하니 朝鮮人(조선인)의 富力(부력)과 知識程度(지식정도)는 此(차) 競爭制度下(경쟁제도하)에 在(재)하야 到底(도저)히 勝利(승리)를 期(기)치 못할 地位(지위)에 在(재)한지라. 今日(금일)에 多少(다소) 資本(자본)을 有(유)하는 者(자) 存(존)한다 할지라도 此等(차등) 小々(소소) 資本家(자본가)가 結局(결국) 勞働者(노동자)의 地位(지위)에 墜(추)할 것은 資本主義的(자본주의적) 社會發達史(사회발달사)의 證明(증명)하는 바가 事實(사실)이라 하면 그 極(극)히 明瞭(명료)한 바―니
吾人(오인)이 비록 朝鮮人(조선인) 本位(본위)의 産業政策(산업정책)을 適用(적용)하야써 朝鮮人(조선인)의 産業發達(산업발달)을 期(기)하라 할지라도 此(차)는 到底(도저)히 實行(실행)될 바 아니며 따라 一旦(일단) 朝鮮人(조선인)이 勞働者(노동자)의 地位(지위)에 立(입)하는 境遇(경우)에는 그 勞働者(노동자) 對(대) 資本主(자본주)의 關係(관계)는 他面(타면)에 在(재)하야는 日本人(일본인) 對(대) 朝鮮人(조선인)의 關係(관계)가 될 것이라. 如此(여차)한즉 目下(목하) 小作人(소작인)이 勞働者(노동자)됨은 勿論(물론)이오 目下(목하) 小資本主(소자본주)라 稱(칭)하는 者(자)도 畢竟(필경)은 勞働者(노동자)가 되는 同時(동시)에 此(차) 朝鮮(조선) 全民衆(전민중)을 包含(포함)한 勞働者(노동자)가 그 生活(생활)을 爲(위)하야 日本人(일본인) 資本家(자본가)에 對抗(대항)하되 民族的(민족적) 感情(감정) 以上(이상)에 切實(절실)한 社會的(사회적) 生産權(생산권)의 主張(주장)으로써 할지니 이 朝鮮(조선) 將來(장래)에 社會主義的(사회주의적) 運動(운동)이 起(기)할 第一原因(제일원인)이며
况(황) 朝鮮人(조선인)의 特性(특성)이 外來思潮(외래사조)에 感染(감염)되기 容易(용이)함이리오. 이 社會主義的(사회주의적) 運動(운동)이 將來(장래) 朝鮮(조선)에 大起(대기)할 第二(제이)의 原因(원인)이니 然則(연즉) 此(차)에 對(대)하야 朝鮮人(조선인)의 處(처)할 方策(방책)이 如何(여하)한고. 吾人(오인)은 오즉 그 大勢(대세)를 論述(논술)하고 그 可否(가부)를 아즉 論(논)하고자 하지 아니하거니와 다만 바라는 바는 此(차) 主義(주의)에 贊成(찬성)하는 者(자)와 反對(반대)하는 者(자)를 勿論(물론)하고 그 主義(주의)의 眞骨髓(진골수)와 참 精神(정신)을 참으로 硏究(연구)함이 爲先(위선) 必要(필요)할가 하노라.
현대문
사회주의적 운동에 대하여우선 제대로 된 연구가 필요
근래 외신에 따르면 시베리아에 거주하는 조선동포의 대부분은 공산주의화하였다 하고 단지 공산주의화할 뿐 아니라 견고한 단체를 조직하여 한편에서는 동포를 상대로 공산주의 선전에 힘을 더하는 동시에 다른 한편에서는 러시아노농정부와 긴밀하게 연결하여 세계적 사회혁명에 참가하였다 한다. 최근 전보에 의하면 시베리아 거주동포뿐만 아니라 만주일대의 거류동포와 상하이의 일부 조선동포가 역시 같은 주의를 신봉하게 된 결과 각종 비밀회의를 열고 각종 비밀계획을 세워 이로써 조선의 장래 운명을 개척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다고 한다.
우리는 물론 이 보도가 맞는지 아닌지를 알지 못하며 비록 사실에 가깝다고 하여도 과연 어느 정도까지 이 주의가 재외동포의 정신을 지배하고 그 뜨거운 피를 들끓게 하며 따라서 어느 정도에까지 실제 운동이 도달하였는지 자세하지 않다. 대개 조선인의 생활상태와 주변사정과 민족적 특성과 세계사조의 큰 흐름상으로 관찰해 볼 때 이러한 운동이 반드시 없다고 단언하지 못하고 단지 반드시 없을 것이라고 추측하지 못할 뿐 아니라 장래의 큰 세력을 이룰 것을 확신한다. 이제 우리가 이 사회주의적 운동에 대하여 논평을 시도하려는 것은 단순히 재외동포가 벌이는 이 운동에 대한 일시적 감상이 아니라 멀리 장래 조선민족이 따라야 할 대세를 잘 살펴 그 귀결을 논하고자 하는 것이다.
첫째 조선인의 생활상태가 어떠한가. 재외동포는 물론이고 재내 일반민중의 생활상태로 말한다고 해도 대부분이 노동자의 생활이라고 할 수 있다. 공업에 취업한 노동자는 공업이 유치한 단계이므로 거론할 정도에 이르지 못하였다. 그러나 조선인의 70, 80%를 차지하는 사람은 소작인이고 소작인의 생활이 참담한 처지에 놓여 있는 것은 세상 사람들이 익히 알고 있는 사실이다. 이 소작인의 생활을 개선함으로써 인격자에 걸맞은 향상 발달의 기회를 주려면 마땅히 생산력을 증가하는 동시에 노동의 결과를 온전히 얻게 하는 이외에 근본적인 방법이 없다. 이 방법을 깨닫는 날이 멀지 않다 하면 또 보통교육이 발달하여 인격과 권리에 대한 자각이 불가피한 사실이 된다고 하면 토지문제에 대하여 사회주의적 견해가 생길 것은 물론이다.
관점을 바꿔 상공업에 대하여 논하더라도 지금 자본주의적 자유경쟁 아래에서 우승열패의 원칙이 적용되고 따라서 부익부하고 빈익빈하여 자본과 지식이 풍부하고 동시에 정권을 가진 자는 쉽게 번영하지만 그렇지 못한 자는 마침내 사회에서 도태를 당할 것이 분명하다. 조선인의 부력과 지식 정도는 이 경쟁제도 아래에 있으면 도저히 승리를 기대하지 못할 위치에 있는 것이다. 오늘 다소 자본을 보유하는 자가 있다고 해도 이들 소소한 자본가가 결국 노동자의 지위로 떨어질 것은 자본주의적 사회발달사가 증명하는 바가 사실이라면 아주 분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비록 조선인 본위의 산업정책을 적용함으로써 조선인의 산업발달을 기대한다고 해도 이는 도저히 실행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따라서 일단 조선인이 노동자의 지위로 들어가는 경우에는 노동자 대 자본가의 관계는 다른 측면에서는 일본인 대 조선인의 관계가 될 것이다. 이러므로 지금 소작인이 노동자가 되는 것은 물론이고 지금 자본가라 불리는 자도 결국에는 노동자가 되는 동시에 이 조선 민중 전체를 포함한 노동자가 생활을 위하여 일본인 자본가에 대항하되 민족적 감정 이상으로 절실한 사회적 생산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할 것이니 이는 조선의 장래에 사회주의적 운동이 일어날 첫 번째 원인이다.
둘째 주변의 사정과 세계사조의 큰 흐름으로 따진다면 여러 나라의 노동자가 보통선거와 노동조합과 공장관리와 국가지배 등 각종 실제운동에 의하여 세력을 한층 더 한층 키울 것은 어느 고집스럽고 어리석은 자들이라도 도저히 부인하지 못할 것이다. 실제 운동이 여기에 이르면 세계의 사조가 따라서 이를 입을 모아 칭송하게 될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풍조가 사방에 생기면—―아니, 이미 조선에 가까운 러시아에 이러한 운동이 성공하여 굳은 지반을 확립하고 세계의 혁명을 기도하는 것이 사실이다――참담한 생활에 신음하고 불평과 불만에 성난 소리를 외치던 조선인이 목을 길게 빼고 달려갈 것은 대개 인정상 당연한 일이다.
하물며 조선인의 특성이 외래사조에 감염되기 쉽지 않은가. 이 사회주의적 운동이 장래 조선에 크게 일어날 두 번째 원인이니 그러므로 이에 대하여 조선인이 내릴 대책이 어떠한가. 우리는 오직 그 큰 흐름을 논술하고 그 옳고 그름을 아직 따지고자 하지 않거니와 다만 바라는 것은 그 주의의 참된 핵심과 참된 정신을 참으로 연구하는 것이 우선 필요할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