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사설]언제 어디서 누구나 걸릴 수 있는 전방위적 코로나 엄습

입력 | 2020-08-28 00:00:00


코로나19 사태가 최대 고비를 맞았다. 의료계 역량이 빠르게 고갈되고 있는 가운데 어제 하루 전국에서 441명이 새로 확진 판정을 받았다. 대구경북 위기 정점 때(2월 29일 909명)의 절반에 육박하는 규모다. 서울 경기 인천에서 315명이 신규로 확진됐는데 수도권에서 300명을 넘긴 것은 처음이다. 수도권 이외에도 아파트, 회사 구내식당, 탁구클럽, 사우나 등 장소를 가리지 않고 126명의 확진자가 쏟아졌다.

무엇보다 시급한 것이 병상과 의료 인력 확보다. 코로나 장기화에 무더위로 의료진의 피로도가 극에 달해 환자 폭증세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병상 대기시간이 길어지고 있지만 전공의들이 무기한 파업에 들어가면서 중환자용 병상 확보 작업이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의사들은 파업을 멈추고 환자부터 살려야 한다. 정부도 민감한 의대 정원 확대 정책을 졸속으로 밀어붙이다 의료계의 반발을 키운 책임을 통감해야 한다. 의사 면허 취소 같은 강경책으로 압박하기보다 대화와 협상으로 의료계와 접점을 찾아야 한다.

16일 수도권을 시작으로 23일부터는 전국에 거리 두기 2단계를 적용하고 있지만 확산세가 잡히지 않는 이유는 이동량이 기대만큼 줄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난 주말 수도권 이동량은 직전 주말에 비해 17% 감소에 그쳤다. 올봄 대구경북 위기 때 이 지역 이동량이 40% 줄었던 데 비하면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어제 발생한 환자의 33.2%는 감염 경로를 모르는 ‘깜깜이 환자’들이다. 언제 어디서든 감염될 수 있는 만큼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외출을 자제해 폭증세를 진정시켜야 의료시스템 붕괴도 막을 수 있다.

법원과 정부청사에 이어 그제는 국회와 청와대 사랑채에서도 확진자가 나와 입법 사법 행정부에 모두 코로나 비상이 걸렸다. 특히 국회가 전면 폐쇄되면서 국회 일정에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그러나 국회법 개정 없이는 원격 화상 회의로 대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코로나 발생 7개월이 지나도록 국가 최고 기간시설인 국회에서 본회의장 출입이 불가능할 경우에 대비한 비상 계획 마련에 손놓고 있었다니 기가 막힐 따름이다. 다른 공공 분야와 필수 기간 시설도 위기 상황별 대응책을 다시 한번 재점검해 어떤 경우에도 국가 운영이 멈춰서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