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동아플래시100] 10달간 85차례 모금 강연…해외동포 보듬다

입력 | 2020-08-29 11:40:00

1922년 2월 27일






플래시백
나라 잃은 일제강점기, 동아일보가 집중호우에 큰 피해를 입은 수재민들을 구호하며 사실상 정부 역할을 했다는 얘기는 이 ‘동아플래시100 코너’에서 ‘도와줄 정부 없는데 하늘마저…동포 구호 나서다’로 소개한 바 있습니다. 그런데 도움이 절실한 동포는 국내뿐 아니라 만주와 간도, 러시아, 일본, 멀리 하와이에도 있었습니다.

일제강점기 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에 있던 조선인 집단거주지 ‘신한촌’의 전경. 1920년 일본군이 무차별 살상을 자행한 ‘4월 참변’의 무대가 된 아픔을 안고 있다.

일제의 학정과 굶주림에 대대손손 정붙이고 살던 고향을 등진 해외동포는 당시 만주 200만, 시베리아 100만, 일본 40만, 하와이를 포함한 미국 수만 명 등 이미 수백 만 명에 달했습니다. 떠날 때야 어딜 가도 여기보단 낫겠지 싶었지만 그렇지만도 않았습니다. 가진 것 없고 말도 안 통하는 곳에서 뿌리 내리기도 힘들었지만 총칼에 희생되기 일쑤였습니다. 시베리아에선 정변(政變)에 시달린 것도 모자라 툭하면 마적 떼의 표적이 됐고, 만주에선 일본군이 일으킨 ‘훈춘 사건’에 무차별 학살당하기도 했죠.

독립운동의 본거지였던 북간도 용정의 대성학교(위)와 동흥학교. 동아일보는 재외동포 위문회 사업을 통해 모은 돈으로 1924년 대성학교에 1000원, 동흥학교에 2000원을 각각 보냈다.

국내라고 사정이 좋을 리 없어 동아일보는 안팎으로 힘든 이 상황을 ‘안에 있는 동포는 계모 슬하에 자라나는 아이 같고, 재외동포는 부모 없는 아이가 천대를 받으며 눈물을 삼키고 살아가는 것 같다’고 비유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동아일보는 한반도에 있으나 외지에 있으나 나도 조선인, 너도 조선인이라는 ‘조선인 의식’을 발휘해 이들 해외동포의 손을 잡아주자고 호소했습니다. 그 시작이 1922년 2월 27일자 1면에 사고(社告)로 실린 ‘재외동포 위문회’입니다. 큰 부담을 주지 않고 십시일반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동아일보는 전국순회 유료 강연회를 준비했습니다. 김동성 조사부장이 직접 참가한 1921년 10월 하와이 만국기자대회와 11월 워싱턴 군축회의의 ‘따끈따끈한’ 사진과 해외동포의 활약상을 담은 사진을 필름으로 만들어 틀어주고 장덕수 주필과 김 부장 등이 강연을 했습니다.

1923년 9월 관동대지진 때 도쿄의 한 수용소에 수용된 조선 동포들. 동아일보는 당시 편집국장 이상협을 급파해 자세한 보도를 하게 하는 한편 재외동포 위문회 성금 가운데 2500원을 현지 동포들에게 전달했다.

강연회 입장료는 갑 1원, 을 50전, 학생 30전이었습니다. 1922년 당시 1원은 쌀값 기준으로 환산하면 현재가치로 약 1만 원이니 썩 부담 되는 수준은 아니었을 겁니다. 이에 더해 3원 이상을 내면 재외동포 위문회 회원으로 인정하고 지면에 성명과 금액을 일일이 싣기로 하고 희사금을 모았습니다. 3월 6일 신의주를 출발해 12월 23일 제주에 이르기까지 전국 방방곡곡에서 85차례 개최한 강연회에는 연인원 6만여 명이 몰렸고, 회원가입은 약 5000명을 헤아려 뜨거운 호응을 받았습니다. 동아일보도 500원을 냈습니다.

이렇게 모은 돈이 총 3만8696원 85전. 희사금 비중이 60.5%로 가장 컸고, 입장료가 30.5%, 나머지는 이자수입과 잡수입이었죠. 이 가운데 7443원 35전을 순회강연회 경비로, 3원 50전을 북간도 용정의 영신여학교에 연필을 사 보내는데 각각 썼습니다. 그리고 남은 돈이 3만1250원. 현재가치로 대략 3억 원쯤이었던 셈입니다. 어떤가요? 많다면 많은 돈이지만 수백만 해외동포에게 골고루 나눠주기엔 역부족이라는 느낌입니다. 그런데도 정치깡패 박춘금을 앞세운 친일단체 ‘각파유지연맹’은 육혈포를 겨누며 위문금을 내놓으라고 협박하기도 했다고 하네요. 물론 동아일보는 굴하지 않았습니다.

1923년 7월 고국을 방문한 하와이 동포 학생단 20여 명이 두 달 동안의 일정을 마치고 9월 1일 경성역에서 송별하러 나온 친지 등과 눈물의 이별을 하고 있다. 동아일보는 하와이 한인기독학교에도 재외동포 위문금 2500원을 보냈다.

당초 동아일보는 해외 각지를 방방곡곡 다니며 동포들을 만나 ‘물품’을 전달하려 했습니다. 하지만 그러기엔 오랜 시간이 걸릴 뿐 아니라 자칫하면 민중의 혈성(血誠)을 순회위문 여비로 다 날릴 판이었습니다. 그래서 한번 쓰고 나면 없어져버릴 물품보다 영원히 남는 사업에 쓰기로 하고 해외동포가 장래 무궁한 발전의 길을 닦고 새 생명을 창조하는 교육기관에 기부하는 것으로 계획을 바꿨습니다. 동아일보는 1923년 9월 관동대지진 때 일제의 흉계에 의해 말할 수 없는 고통을 받은 일본 동포들에게 2500원의 위문 금품을 전달한 것을 제외한 전액을 1924년 북간도 용정의 동흥학교 등 22곳에 나눠 보냈습니다.

정경준 기자 news91@donga.com
원문
東亞日報(동아일보) 發起(발기) 在外同胞(재외동포) 慰問會(위문회)
贊(찬)하라 此(차) 民族的(민족적) 初有(초유)의 一大(일대) 精神事業(정신사업)에
來(내)하라 我(아) 同族(동족) 相愛(상애)의 自覺(자각)을 促(촉)하는 會合(회합)에
全(전) 朝鮮(조선) 巡廻(순회) 幻燈(환등) 映寫(영사) 大(대) 講演會(강연회)



近(근)하얀 滿洲(만주) 露領(노령)으로부터 遠(원)하얀 米洲(미주) 墨領(묵령)에까지 太平洋(태평양) 沿岸(연안)의 各(각) 外地(외지)에 移住(이주)한 我(아) 朝鮮同胞(조선동포)는 今(금)에 基數(기수)가 實(실)로 數百萬(수백만) 人(인)이라. 在內(재내)의 吾人(오인)은 尋常(심상)히 此等(차등) 在外同胞(재외동포)의 身上(신상)에 想及(상급)할지라도 別離(별리)의 悵情(창정)을 抑制(억제)키 難(난)하거던 허물며 悲風慘雨(비풍참우)의 中(중)에 惡戰苦鬪(악전고투)하든 過去(과거)를 回想(회상)할 時(시)에 誰(수)ㅣ 能(능)히 熱淚(열루)를 禁(금)하며 炎熱氷雪(염열빙설)의 間(간)에 苦心(고심) 勞力(노력)하는 現在(현재)를 聞知(문지)할 時(시)에 誰(수)ㅣ 能(능)히 長嘆(장탄)을 免(면)하리오.

在外同胞(재외동포)의 發展(발전)에 對(대)하야는 在內(재내)의 吾人(오인)이 後援(후원)할 責任(책임)이 深(심)하며, 在外同胞(재외동포)의 困苦(곤고)에 對(대)하야는 在內(재내)의 吾人(오인)이 相救(상구)할 義務(의무)가 多(다)하도다. 然而(연이) 過去(과거) 現在(현재)는 果然(과연) 如何(여하)한가. 不毛(불모)의 絶域(절역)에서 飢寒(기한)에 泣(읍)하야도 在內(재내) 吾人(오인)의게는 顧(고)하야 愬(소)할 곳이 全無(전무)하얏고, 無告(무고)의 他鄕(타향)에서 迫害(박해)를 斃(폐)하야도 在內(재내) 吾人(오인)으로는 向(향)하야 弔(조)한 일이 絶無(절무)하도다.

在內(재내) 吾人(오인)의 遺憾(유감)이 此(차)에 過(과)할 者(자)ㅣ 何(하)이며, 在內(재내) 吾人(오인)의 無情(무정)이 此(차)에 甚(심)할 者(자)ㅣ 何(하)리오. 尙且(상차) 在外同胞(재외동포)는 此(차) 百難(백난)의 中(중)에서 如一(여일)히 奮鬪(분투)하면서 우리 民族(민족)의 發展(발전)을 爲(위)하야 赤心血誠(적심혈성)을 傾倒(경도)하야 今日(금일)에 至(지)하얏스며, 將來(장래)에 向(향)하야도 亦(역) 그 努力(노력)에 期待(기대)할 바가 多大(다대)하나 在內(재내) 吾人(오인)은 此(차)에 對(대)하야 一言(일언)의 謝意(사의)를 表(표)할 方途(방도)가 無(무)하얏도다.

我(아) 東亞日報社(동아일보사)는 江湖(강호) 有志(유지)와 共(공)히 此(차)에 感(감)한 바 有(유)하야 今(금)에 在外同胞(재외동포) 慰問會(위문회)를 發起(발기)하고 廣汎(광범)히 在內同胞(재내동포)의 援贊(원찬)을 仰(앙)하야 委員(위원)으로 하야금 親(친)히 同胞(동포)의 多數(다수)히 活動(활동)하는 地方(지방)을 訪問(방문)하야 在內同胞(재내동포)의 懇曲(간곡)한 衷情(충정)을 告(고)하고, 並(병)하야 婦人(부인) 兒童(아동)의게 微衷(미충)의 紀念品(기념품)을 贈(증)하야 在內(재내) 吾人(오인)이 平素(평소)에 抱懷(포회)한 遺憾(유감)의 萬一(만일)이라도 此(차)를 減(감)코저 하노니 在內同胞(재내동포)는 幸(행)히 吾人(오인)의 此(차) 擧(거)에 共鳴(공명)하시라.


規定(규정)

一(일), 東亞日報(동아일보)의 本社(본사)와 各(각) 支分局(지분국)의 合力(합력)으로 全(전) 朝鮮(조선) 各(각) 主要地(주요지)에 幻燈(환등) 映寫(영사)의 講演會(강연회)를 開(개)하고 入場員(입장원)으로부터 收入(수입)되는 會費(회비)와 會員(회원)의 喜捨金(희사금)을 收合(수합)하야 事業(사업) 實行(실행)의 經費(경비)에 充(충)함.

二(이), 本(본) 事業(사업)에 贊同(찬동)하야 實行經費(실행경비) 中(중)에 金(금) 三(삼) 圓(원) 以上(이상)을 喜捨(희사)하시는 朝鮮(조선) 人士(인사)는 本會(본회) 會員(회원)으로 認(인)하야 其(기) 氏名(씨명)과 喜捨(희사)金額(금액)을 本報(본보)에 揭載(게재)하고 別(별)로히 會員名簿(회원명부)를 作成(작성)하야 慰問地(위문지)에서 配送(배송)함.

三(삼), 東亞日報(동아일보)의 本社(본사) 及(급) 各(각) 地方(지방) 支分局長(지분국장)은 本(본) 事業(사업) 實行委員(실행위원)의 任(임)에 當(당)함.

四(사), 事業(사업) 實行(실행)에 關(관)한 事項(사항)은 東亞日報社(동아일보사)에서 此(차)를 定(정)하야 紙上(지상)으로 此(차)를 發表(발표)함.

五(오), 訪問地(방문지) 派遣(파견) 委員(위원)의 慰問(위문) 報告(보고)는 全部(전부) 東亞日報(동아일보) 紙上(지상)에 報道(보도)함.


幻燈(환등) 映寫(영사) 講演會(강연회)

各(각) 地方(지방)에 巡廻(순회)하야 講演會(강연회)를 行(행)할 時(시)에 映寫(영사)할 幻燈(환등)은 曩者(낭자) 京城(경성) 及(급) 二(이) 三(삼) 地方(지방)에서 大歡迎(대환영)을 受(수)한 華盛頓(화성돈) 會議(회의) 及(급) 世界記者大會(세계기자대회) 關係(관계) 寫眞(사진) 以外(이외)에 更(갱)히 在外同胞(재외동포)의 活動(활동)하는 寫眞(사진)을 利用(이용)하야 新(신)히 本社(본사)에서 特製(특제)한 것이며, 講演(강연)을 行(행)할 演士(연사)는 左(좌)와 如(여)함.

東亞日報(동아일보) 主筆(주필) 張德秀(장덕수)

東亞日報(동아일보) 調査部長(조사부장) 金東成(김동성)

講演會(강연회)의 會費(회비)는 規程(규정)에 示(시)한 바와 如(여)히 本(본) 事業(사업) 實行(실행)의 經費(경비)에 充用(충용)할 것임으로 本(본) 講演會(강연회)에 聽講(청강)함은 卽(즉) 聽講者(청강자) 自身(자신)이 在外同胞(재외동포) 慰問(위문)의 誠意(성의)를 表示(표시)하심이라.

會費(회비) 甲(갑) 一圓(일원), 乙(을) 五拾錢(오십전), 學生(학생) 三拾錢(삼십전)
第一會(제일회) 巡講(순강) 日程(일정)(次回 追次 發表·차회 추차 발표)


三月(삼월) 五日(오일) 京城(경성) 發(발), 六日(육일) 新義州(신의주), 七日(칠일) 宣川(선천), 八日(팔일) 安州(안주), 十日(십일) 江界(강계), 十三日(십삼일) 平壤(평양), 十四日(십사일) 鎭南浦(진남포), 十五日(십오일) 安岳(안악), 十七日(십칠일) 松禾(송화), 二十日(이십일) 海州(해주), 廿一日(입일일) 載寧(재령), 廿二日(입이일) 沙里院(사리원), 廿三日(입삼일) 南川(남천), 廿四日(입사일) 開城(개성)
현대문
동아일보 발기 재외동포 위문회
찬성하라! 이 민족적 초유의 일대 정신 사업에
오라! 우리 동족 사랑의 자각을 촉구하는 회합에
전 조선 순회 환등 영사 대 강연회


가깝게는 만주와 러시아 땅, 멀리는 미국, 멕시코까지 태평양 연안 각 외지에 이주한 우리 조선동포는 오늘에 그 수가 실로 수백 만 명이다. 본국의 우리는 대수롭지 않게 이들 해외동포의 신상에 생각이 미칠지라도 별리의 슬픈 감정을 억제하기 어려운데 하물며 비참한 처지 속에 악전고투하던 과거를 회상할 때 그 누가 능히 뜨거운 눈물을 흘리지 않을 수 있을 것이며, 작열하는 열기와 차가운 빙설 사이에서 고심하고 노력하는 현 상황을 들어 알 때에 누가 능히 긴 탄식을 내뱉지 않을 수 있겠는가.

해외동포의 발전에 대해 본국에 있는 우리는 후원할 책임이 막중하며, 해외동포의 딱한 형편에 대해 본국의 우리는 서로 구할 의무가 막대하다. 그러나 과거와 현재 우리는 과연 어떠했는가. 불모의 이역 땅에서 굶주림과 추위에 울어도 본국 우리에게는 돌아보고 하소연할 곳이 전무했고, 아무 연고도 없는 타향에서 박해 받아 목숨을 잃어도 본국의 우리는 이를 향해 조의를 표한 일이 아예 없었다.

본국 우리들의 유감이 이에 지나칠 것이 무엇이며, 우리들의 무정이 이보다 심할 것이 무엇이겠는가. 또한 해외동포는 이 숱한 어려움 속에서도 한결같이 분투하면서 우리 민족의 발전을 위해 참된 정성을 기울여 오늘에 이르렀으며, 장래에도 역시 그 노력에 기대할 바가 크지만 본국의 우리들은 이에 대해 한 마디의 고마움을 표시할 방도가 없었다.

우리 동아일보사는 이에 느낀 바 있어 강호의 뜻있는 분들과 함께 오늘 재외동포 위문회를 발기하고 폭넓게 본국 동포의 후원과 찬동을 바라는 뜻에서 위원으로 하여금 친히 동포들이 다수 활동하는 지방을 방문해 본국 동포들의 간곡한 충정을 알리고, 이와 함께 부인과 어린이들에게 작은 기념품을 증정해 우리들이 평소 품은 유감을 만분의 일이라도 덜고자 하니 본국 동포들은 기꺼이 우리의 이 뜻에 공명하시기 바란다.


규정

1. 동아일보 본사와 각 지·본국이 힘을 모아 전 조선 각 주요지에 환등 영사의 강연회를 열고 입장객들이 내는 회비와 회원의 희사금을 모아 사업 실행경비에 충당함.

2. 이 사업에 찬동해 실행경비 중 3원 이상을 희사하시는 조선 인사는 이 재외동포 위문회 회원으로 인정해 성명과 희사 금액을 본보에 게재하고 따로 회원명부를 작성해 위문하는 곳에서 배송함.

3. 동아일보 본사 및 각 지방 지·분국장은 이 사업 실행위원의 임무를 맡음.

4. 사업 실행에 관한 사항은 동아일보사에서 이를 정해 신문지상에 발표함.

5. 방문지에 파견하는 위원의 위문 보고는 전부 동아일보 지상에 보도함.


환등 영사 강연회

각 지방을 순회해 강연회를 행할 때 영사할 환등은 지난번 경성 및 2, 3개 지방에서 대환영을 받은 워싱턴회의 및 세계기자대회 관련 사진, 그리고 또 해외동포가 활동하는 사진을 이용해 본사에서 새로 특별 제작한 것이며, 강연을 할 연사는 아래와 같음.

동아일보 주필 장덕수

동아일보 조사부장 김동성

강연회 회비는 규정에서 보인 것과 같이 이 사업 실행경비에 충당할 것이므로 이 강연회를 듣고자 함은 곧 청강자 자신이 해외동포 위문의 성의를 표시하는 것과 같다.


회비: 갑 1원, 을 50전, 학생 30전
제1회 순회강연 일정(다음 회는 추후 발표)


3월 5일 경성 출발, 6일 신의주, 7일 선천, 8일 안주, 10일 강계, 13일 평양, 14일 진남포, 15일 안악, 17일 송화, 20일 해주, 21일 재령, 22일 사리원, 23일 남천, 24일 개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