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자 5100명 최근 18일새 ‘폭발’ 진단검사-동선조사-접촉자 추적 등 현장방역 전 과정서 심각한 과부하 숨은 감염원發 ‘조용한 전파’ 우려
선별진료소 지키는 의료진. 2020.8.23 © News1
1만9947명.
31일 0시 기준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다. 최근 매일 세 자릿수 확진자가 나오는 걸 감안하면 1일 발표 때 2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올 1월 20일 첫 확진자 발생 후 225일 만이다.
2만 명에 육박하는 확진자 중 5177명이 8월 14∼31일 발생했다. 전체 확진자의 4분의 1 이상이 최근 18일 동안 나온 것이다. 그만큼 이번 유행이 위험한 상황이다. 특히 신규 확진자의 단기간 급증은 방역망을 뿌리째 흔들고 있다. 코로나19 대응의 시작인 진단검사와 동선 조사, 접촉자 추적 등 현장방역 전 과정에 심각한 과부하가 나타나고 있다.
문제는 방역 과부하가 현장인력의 고충에 그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방역속도가 느려지면 동시다발로 터지는 집단 감염을 제대로 쫓아갈 수 없다. 그러는 사이 2, 3차 전파가 이뤄지고 나중에는 감염 경로가 불분명한 확진자가 쏟아지게 된다. 전체 방역망의 대응력이 추락하면 정부의 방역정책이 통제력을 잃을 수도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최근 2주간(18∼31일) 신규 확진자 4432명 중 1007명(22.7%)의 감염 경로가 밝혀지지 않았다. 올 4월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확진자 5명 중 1명 이상은 언제, 어디서, 누구로부터 감염됐는지 모른다는 뜻이다. 방역망이 놓친 감염원은 지역사회에서 계속 ‘조용한 전파’를 일으키게 된다.
방역당국도 역학조사를 통해 모든 감염원을 추적하고 접촉자를 가려내는 것이 한계에 부딪혔다고 판단한다. 현 상황에서 최선의 조치는 사회적 거리 두기 강화를 통한 사람 간 접촉 최소화라는 의견이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31일 브리핑에서 “우리가 코로나19 대응의 목표로 했던 것보다 (확산세가) 빠르게 진행됐다”며 “확진자가 급증해 역학조사에 부담이 증가하고 있는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김상운 sukim@donga.com·강동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