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는 바늘로 100번 찔려도 모양조차 거의 흐트러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섭씨 90도가 넘는 고온에서도 죽지 않고 살아남았다.
헝가리 세멜바이스대 연구팀은 지난 17일 학술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인 바이오아카이브(biorxiv.org)에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연구팀은 길이 약 80나노미터의 코로나19 스파이크 단백질을 나노 바늘로 100번을 찌른 후 그 변화를 관찰했다.
연구팀은 또 바이러스가 바늘에 찔렸을 때 고주파수에서 1초에 300번 이상 빠르게 흔들린다는 점도 발견했다. 바이러스가 빨리 움직이면 숙주 세포를 찾는 것도 쉬워진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바늘로 찌르면 오히려 바이러스의 전파력이 높아진다는 의미다.
코로나19는 열에도 끄덕이 없었다. 연구팀은 코로나19바이러스 입자를 90도로 10분간 가열했다. 하지만 일부 스파이크 단백질이 떨어져 나왔을 뿐 바이러스의 전체적인 구조는 그대로였다.
연구를 이끈 미클로스 켈러마이어 박사는 “코로나19는 자가치유성과, 내열성, 탄력성이 매우 강하다”면서 “이런 기계적이고 자가 치유적인 특성이 코로나19를 광범위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고 설명했다.
켈러마이어 박사는 또 “코로나19는 전반적인 열 안정성도 매우 높았다”며 “코로나19가 에어로졸이나 물체의 표면을 통해 퍼져나간 사실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코로나19의 강한 내성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는 앞서 프랑스에서도 나왔다. 프랑스 남부 엑스-마르세유대 연구팀은 지난 4월 한 시간 동안 섭씨 60도에 노출된 바이러스가 죽지 않고 동물 세포에서 복제될 수 있다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는 발병 초기 예상과는 달리 코로나19가 여름에도 대규모 확산된 이유를 보여준다고 SCMP는 전했다. 코로나19는 이런 특성들로 인해 첫 발병 후 약 9개월 만에 전세계적으로 3000만명 넘게 감염시키고 96만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