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을 앞두고 한 홀몸 어르신이 방문한 자원봉사자를 맞고 있다. 양평=뉴시스
한성희 사회부 기자
추석 당일인 1일, 경기 안성에 사는 이모 씨(82·여)의 목소리는 애잔함이 묻어났다. 아들 셋에 딸 둘이나 뒀지만 올해 추석은 아무도 찾아오지 않았다. 이 씨가 심혈관 질환을 앓다 보니 더욱 조심스러웠다. 지척에 사는 큰아들 내외도 전화로 아쉬움을 달랬다.
민족의 명절 추석이 끝났지만 후유증이 심상찮다. 평소라면 며느리 등 자식 쪽에서 나오던 ‘명절 증후군’ 하소연이 올해는 어르신에게서 쏟아진다. 고대하던 가족 모임이 사라지며 우울함을 토로하는 노년층이 적지 않다. ‘코로나 블루’에 빗대 ‘코로나 실버’란 말까지 나온다.
서울 강동구에 사는 차모 씨(79)도 평생 처음 홀로 추석을 맞았다. 지난해 부인과 사별한 뒤 그의 곁을 지켜준 건 TV 리모컨뿐이었다. 차 씨는 “자식들이 오겠다는 걸 나서서 말렸지만, 외로움에 속이 쓰린 건 도리가 없다”고 말했다.
소외계층 어르신들의 추석은 더욱 아렸다. 2일 서울 종로구의 탑골공원 무료급식소엔 오전 10시 반경부터 긴 줄이 이어졌다. 배식 시작을 1시간이나 앞뒀지만 멀리서부터 한 끼를 해결하러 사람들이 몰렸다. 준비된 식량이 떨어져 그냥 발길을 돌린 이들도 있었다.
양모 씨(75)는 “코로나19 전엔 막일이라도 다녔는데 요즘은 그마저 수월치 않다”며 “몸도 맘도 배고픈 명절인데 배식까지 놓쳤다”며 속상해했다. 인근 돈암동 쪽방촌에 거주하는 A 씨(70)는 “매년 명절에 쏟아지던 생필품 후원도 자원봉사도 코로나19 탓에 확 줄었다”며 “상황이 이러니 심리적 압박은 더욱 커졌다”고 한숨지었다.
“모두가 힘든 명절이라 그런지, 전화 한 통이 안 걸려 오네요.” 탑골공원에서 만난 양 씨는 액정이 깨진 휴대전화를 만지작거리며 쓴웃음을 지었다. 그렇게 지나가버린 추석 다음 날인 2일은 1997년 보건복지부가 법정기념일로 지정한 ‘노인의 날’이었다.
한성희 사회부 기자 chef@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