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재정운용’ 보고서 통해 지적 “114조 투입, 예산 낭비 위험… 사업효과 구체적 검증 선행돼야” 도덕적 해이 발생 가능성엔 “재정지원 방식 세심한 검토를”
19일 재정당국에 따르면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은 최근 발간한 ‘2021년 예산안 및 2020∼2024년 국가재정운용계획 평가’ 보고서에서 “한국판 뉴딜이 재정 건전성 우려를 잠재울 만큼 정책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과제의 구체성이 더해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정부가 발표한 각종 뉴딜 사업들이 기존 사업과 비교해 경제성이 있는지, 한국판 뉴딜로 대체될 산업의 근로자들을 어떻게 배려할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예를 들어 2025년까지 44조800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디지털 뉴딜 중 디지털·온라인 교육 강화 사업과 관련해 “기존 오프라인 학습 환경을 능가하는 효과가 있는지 과학적 근거가 논의돼야 한다”고 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김우현 조세연 부연구위원은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하더라도 2024년까지 국가채무 증가 속도가 가파르다”며 “2022년쯤 코로나19 사태가 안정화할 것이라는 전망을 감안하면 현 정부 들어 늘고 있는 복지 예산과 한국판 뉴딜의 영향이 크다”고 분석했다.
한국판 뉴딜에 투입되는 예산이 ‘눈먼 돈’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내비쳤다. 보고서는 “정책 효과가 높을 가능성이 있는 집단을 선별하고, 도덕적 해이를 일으키지 않을 방식으로 재정을 지원하는 전달 체계 방식에 대해 세심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의 낙관적인 경제 전망이 재정 건전성 개선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왔다. 장밋빛 세입 전망에 기댈 경우 당초 목표보다 재정 수지가 더 악화돼 재정 건전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국가채무를 안정적으로 관리하지 못할 경우 국가 신용등급에 악영향을 주는 만큼 현재 정부의 전망치보다 재정지표를 안정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주문도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