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들, 친환경 사업 적극 추진
제주도는 2030년까지 풍력과 태양광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로 전력 수요의 100%를 충당할 방침이다. 동아일보DB
최근 지자체 중에는 구체적인 탄소중립 목표 연도와 달성 방안을 공개하는 곳이 늘고 있다. 올 6월 전국 지자체가 기후위기 비상선언에 나서고 7월 80개 지자체가 ‘탄소중립 지방정부 실천연대’를 발족한 데 따른 조치다.
제주도는 탄소중립 목표 연도를 2030년으로 정했다. 그때까지 도내 전력 수요의 100%를 신재생에너지로 활용하고 등록 차량 50만 대 중 75%(37만7000대)까지 전기차 공급을 확대할 방침이다. 이 같은 구상은 일찌감치 제주도가 풍력과 태양열발전을 확대한 덕분이다. 제주지역 전력 사용량 중 신재생에너지 점유율은 2019년 기준 14.4%로 전국 최고 수준이다. 제주도는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을 늘려 남는 전력을 저장할 대규모 전력저장소(ESS)를 구축해 신산업 혁신동력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신재생에너지만 활용하는 아파트 단지와 소규모 마을을 조성해 점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자립섬’을 만들 구상을 하고 있다.
우선 기존 산업단지의 경우 옥상 등 유휴부지에 태양광을 설치하고 신규 산업단지는 신재생에너지로만 운영토록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중대형 수소생산기지를 만들고 친환경 수소연료전지 생산사업을 확대한다. 또 인근 하천과 상수도를 활용해 건물 냉난방에 사용할 수 있는 수열에너지도 생산한다.
서울시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이 목표다. 지역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2005년 대비 2030년에는 42%, 2040년 72%로 점진적으로 줄여나갈 계획이다. 우선 도심 내 온실가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건물(68.2%)과 수송(19.4%) 분야의 배출을 줄일 방침이다. 도시숲을 확대해 도시 생태계 복원에도 힘을 기울일 예정이다.
건물 분야에서는 어린이집과 보건소 등 공공건물부터 단열 강화 등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그린 리모델링’을 대대적으로 시작하고 향후 민간 건축물에도 확대한다. 또 2035년부터 친환경차량만 등록할 수 있도록 법 개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온실가스를 흡수하는 나무도 2022년까지 3000만 그루를 심을 계획이다.
중앙정부 차원이 아닌 지자체 차원에서 탄소중립 달성 계획을 세우는 건 지역 상황에 맞는 대응책을 세울 수 있어 효율적이다. 해외에서도 로스앤젤레스(미국), 코펜하겐(덴마크), 도쿄도(일본) 등이 적극적으로 탄소중립을 추진하고 있다.
강은지 기자 kej09@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