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윤희숙 의원. 사진=동아일보DB
국민의힘 윤희숙 의원이 14일 “코로나로 절벽에 몰린 중소기업에 52시간제를 굳이 칼같이 전면 적용해 근로자의 일자리를 뺏고 길거리로 내모는 게 전태일 정신이냐. 이게 무슨 이념적 허세냐”고 따져 물었다.
윤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전태일 열사의 정신은 근로자의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라는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윤 의원은 전태일 열사 50주기를 맞은 지난 13일 “52시간 근로 중소기업 전면적용을 코로나 극복 이후로 연기하는 게 전태일 정신을 진정으로 잇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더불어민주당은 논평을 통해 “분노를 넘어 실소를 금할 수 없다”며 “윤 의원은 전태일 열사의 정신을 더 이상 왜곡하기도, 모독하지도 말기 바란다”고 지적했다.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도 “이런 소리 하는 데에 왜 전태일을 파느냐”며 “저러니 저 당은 답이 없다. 코로나 이전에는 찬성하셨느냐”고 꼬집었다.
이에 윤 의원은 이날 “모든 의견을 환영하지만, 여당 대변인 논평을 보고 저야말로 실소를 금치 못했다”고 받아쳤다.
그는 “운동권 써클이 아니라 국가 운영의 책임을 공유하는 거대여당이 됐으면 이제 제발 도그마와 허세는 버리시라”며 “2년에 최저임금을 29% 올려 알바 청년들 일자리를 그만큼 뺏고 주문기계 제조업자들만 배불렸으면 정신 차릴 때도 되지 않았느냐”고 반박했다.
이어 “1998년 우리나라 근로시간은 연 2880시간에 달했다. 중진국 반열에 오른 지 한참 지났는데도 지금보다 거의 1000시간이 많은 수준이었다”며 “1953년 현실과 동떨어진 법을 만들어 산업화 기간 동안 사실상 사문화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문재인 정부의 최저임금 대폭인상, 임대차3법 등으로 살이 부스러질 만큼 부스러진 우리 경제를 홀랑 태워먹기까지 하지 않으려면, 일자리 없애는 것을 전태일 정신으로 둔갑시키고 강성노조편만 들며 전태일을 모욕하지 말고, 이 코로나 시대 작은 일자리도 절실한 국민들을 위해 일해달라”고 당부했다.
서한길 동아닷컴 기자 stree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