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잔존 감염이 집단감염 이어져… 민노총 집회-핼러윈 연관 적어” 전문가 “석달전 사례 연결 근거부족”… 논란 커지자 市 “취지 잘못 전달”
서울시의 방역 실무 책임자가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급증 현상이 “8월 15일 광화문 집회에서 이어졌다”고 주장해 논란이 일고 있다. 뚜렷한 근거 없이 3개월이 지난 집단감염을 최근 상황과 연결짓는 건 부적절하다는 전문가 지적이 나왔다.
박유미 서울시 시민건강국장(방역통제관)은 19일 오전 코로나19 브리핑에서 “8, 9월에 큰 집단감염 이후 잔존 감염이 지역사회에 계속 있었다. 이것이 최근에 발생하고 있는 소규모, 다발성 집단감염으로 이어졌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의사 출신인 박 국장은 서울시에 개방형직위로 채용돼 보건의료정책과장을 지내다 6월부터 시민건강국장을 맡고 있다.
박 국장은 추가 설명에서 ‘8·15 도심 집회’ 등을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그는 “특히 8, 9월 사이에는 사랑제일교회나 8·15 도심 집회 관련 확진자가 수백 명 생겨나는 큰 집단감염 형태였으나 최근 양상은 일상생활 공간에서 소규모로 여러 곳에서 발생한다”고 했다.
그는 “확진자들의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을 분석한 결과, 핼러윈이나 주말 도심 집회와 연관되지 않았다”며 “최근 고령층 확진자가 많은 점을 고려하면 실질적으로 연관성이 있다고 보기 힘들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박 국장의 주장에 근거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김우주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박 국장) 주장대로라면 8·15 집회 뒤 대략 20차 감염이 벌어졌다는 건데, 역학조사를 바탕으로 흐름을 보여줄 수 없다면 궤변일 뿐”이라며 “방역 책임자가 특정 집단을 감염 온상으로 지목하는 건 혐오만 강화시킬 뿐 방역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김탁 순천향대 감염내과 교수도 “사회적 거리 두기가 약화되면서 확진자가 급증할 수 있다는 예측은 지속적으로 나왔다”며 “최근 재확산 추세의 원인을 석 달 전 특정 집회로 몰아가는 것은 근거도 부족하고 적절치 않은 태도”라고 지적했다.
논란이 커지자 서울시는 19일 오후 해명자료를 내놓았다. 시는 “8, 9월 집단감염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8·15 도심 집회를 예시로 든 것”이라며 “당시 집단감염 여파로 지역사회에서 찾아내지 못한 무증상 감염자들이 지역사회에 남아 있다는 취지였다. 광복절 집회 때문에 최근 확진자가 늘었다는 뜻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