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보다 감염자라는 사회적 ‘낙인’을 더 두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명 중 1명꼴로 코로나19 사태 이후 실직, 무급휴직, 임금 감소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은 코로나19의 변화 등 11개 분야를 분석한 ‘한국의 사회동향 2020’ 보고서를 11일 내놨다. 올해 상반기(1~6월)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6차례 조사한 결과 코로나19가 국내에 본격 유행한 3~5월 조사 대상자 10명 중 6명(57~68%)은 ‘확진이라는 이유로 비난받고 피해 입을 것이 두렵다’고 답했다. 이는 ‘확진될까 두렵다’는 응답(54~58%)보다 더 많았다. 코로나19 감염 책임을 개인 탓으로 돌리는 사회적 분위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월 조사 대상자의 78.2%는 ‘방역 강화가 필요한 때는 인권보호를 후순위로 미뤄야 한다’고 응답했다.
5월 현재 코로나19 사태 이전과 같은 임금을 받는다는 응답은 전체의 50.3%에 그쳤다. 나머지는 임금이 줄었거나(26.7%) 일자리를 잃은 것(14%)으로 나타났다. 무급휴가 중이라는 응답도 9%였다. 특히 주부, 자영업자, 저소득층에서 ‘코로나19로 자신의 일상이 정지됐다’고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결혼한 지 20년 이상 지난 부부의 ‘황혼이혼’은 지난해 전체 이혼의 34.7%를 차지했다. 1993년 6.7%에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결혼하지 않은 채 아이를 낳는 혼외출산율도 지난해 2.3%로 역대 최고치였다.
세종=주애진 기자 jaj@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