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의 자식 사랑 끝이 없어서 아들이 때맞춰 돌아오자 너무 기뻐하시네.
겨울옷은 촘촘하게 바느질하셨고 보내준 편지엔 아직도 먹물 자국 선명하네.
만나자마자 야위었다 걱정하시고 날 불러 고생한 걸 물어보시네.
(愛子心無盡, 歸來喜及辰. 寒衣針線密, 家信墨痕新. 見面憐淸瘦, 呼兒問苦辛. 低徊愧人子, 不敢歎風塵.)
(애자심무진, 귀래희급진. 한의침선밀, 가신묵흔신. 견면련청수, 호아문고신. 저회괴인자, 불감탄풍진.)
―‘세모의 귀향(歲暮到家)’(장사전·蔣士銓·1725∼1785)
세모(歲暮)는 한 해를 마무리하고 또 새 출발을 준비하는 시점. 삶의 많은 것들을 떠나보내고 또 맞아들이는 일이 동시에 벌어지는 지점이요, 금년과 내년이 잠시 소란스레 해후하는 지점이기도 하다. 우리 곁을 스쳐 지나가는 무수한 하루 가운데 하나일 뿐이면서 또 왠지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싶은 삶의 특별한 매듭 같은 날이기도 하다. 객지를 떠돌던 시인은 이날에 마침맞게 귀향했고 어머니는 그런 아들이 반갑기만 하다. 그동안 어머니는 한 땀 한 땀 정성스레 겨울옷을 마련했고, 자주 안부 편지를 보낸 듯 먹물 자국이 선연한 편지가 아들의 눈앞에 아른거린다. 수척해진 아들이 겪었을 고생살이에 대해 꼬치꼬치 물어보는 어머니, 마음속 켜켜이 쌓였을 세상 풍진의 생채기들을 후련히 털어버리라는 배려였을 테지만 아들은 차마 속내를 드러내지 못한다. 제대로 자식 노릇도 못한 송구함을 애써 감추고 어물어물 대답을 얼버무리는 아들을 보면서 어머니의 심사는 얼마나 울울했을까.
이준식 성균관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