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트라제네카 구매계약 허점 논란 공급일자-분기 등 시기 명시 안돼… 정부는 “최고경영진이 직접 확약” 최종 사용승인 불투명한 것도 문제 정부 “여유있게 대처”→“신속 준비”… 확진자 폭증에 열흘새 180도 선회
국군간호사관생도 긴급 투입 18일 충남의 한 생활치료센터에서 국군간호사관학교 생도들이 개인보호구 착용법을 익히고 있다. 국군간호사관학교는 코로나19 방역 지원을 위해 이날 생도들을 일선 생활치료센터에 투입하기 시작했다. 국방부 제공
“내년 2, 3월 백신 최초 도입 후 신속히 접종이 시행되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18일 정부 백신 확보 브리핑)
정부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확보 전략은 이처럼 열흘 만에 180도 바뀌었다. 당초 정부는 다른 나라의 백신 접종 부작용을 살핀 뒤 여유 있게 접종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최근 코로나19 확진자가 폭증하며 국민 불안이 커지자 백신 도입과 접종을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말을 바꿨다. 문제는 미국, 유럽 등 선진국들이 백신 확보에 경쟁적으로 나서면서 백신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는 여지가 급격히 줄고 있다는 점이다.
○ 내년 2분기에도 충분한 공급 힘들어
그러나 사전 협상이 아닌 최종 계약 때에는 공급 물량과 시기를 명확히 하는 게 일반적이다. 정부도 다른 백신 제조사와의 협상 상황을 설명하며 최종 계약 때 시기를 명시할 것이라고 밝혀왔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최종 사용승인이 아직 불투명한 것도 문제다. 최근 효능 논란으로 인해 본국인 영국에서조차 사용승인을 아직 받지 못했다. 이 때문에 내년 2분기까지도 충분한 양의 백신이 공급되긴 힘들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정기석 한림대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내년 전반기 우리가 기댈 수 있는 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지만 아직 3상 임상시험이 끝나지 않았다”며 “내년 가을 전까지 (전체) 4400만 명분을 들여오기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도입 이후 실제 접종 과정도 만만치 않아 보인다. 정부는 이달 중 접종기관과 인력 확보 등 구체적인 접종 실행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발표했다. 코로나19 백신은 종류가 다양하고 접종·유통 방식이 달라 의료진 사전교육과 도상 훈련을 실시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코로나19 확진자 폭증으로 의료진이 절대 부족한 상황에서 수천만 명을 접종할 의료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 K방역 과신, 문책 압박이 실기(失期)로
의료계는 백신을 사전에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는 전문가 지적에도 정부가 신속히 대응하지 못한 측면이 있다고 지적한다. 통상 10년이 걸리는 백신 개발기간을 1년으로 압축한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안전성과 유효성을 검증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임인택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18일 브리핑에서 “물건이 없고 안전성·유효성 관련 자료가 없는 상황에서 계약을 체결해야 되는 역사상 전무후무한 상황이었다”고 말했다. 실제 아스트라제네카, 얀센의 임상시험에서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한 직후 ‘백신 도입 범부처 태스크포스(TF)’는 협상 파기까지 검토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내 의사결정권자의 신속한 백신 확보 의지가 부족했고, 이에 따라 실무자들이 소극적으로 움직인 게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총 1조3000억 원의 예산이 배정된 대규모 국가 프로젝트에서 자칫 안전성, 유효성 문제가 불거졌을 때 책임 추궁을 의식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 질병관리본부장을 지냈던 정 교수는 “장관 등 결정권자의 명확한 시그널이 없었다면 실무자들이 적극적으로 움직이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