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혹한’ 자영업의 눈물/‘황금 상권’ 홍대골목의 쇠락]가게 40곳 들여다보니
《1997년 외환위기가 회사원을 쓰러뜨렸다면 2020년 코로나19 위기는 자영업자를 강타했다. 경기 부진과 최저임금 인상, 주 52시간 근무제로 체력이 고갈된 자영업자들은 매출 절벽의 한계상황에 내몰렸다.국내 대표 상권인 홍대골목 ‘사장님’들을 통해 코로나 혹한에 쓰러져 가는 자영업의 오늘을 들여다봤다.》
▼“월매출 800만원 옛말… 카드빚만 2500만원”▼
벼랑끝에 내몰린 디저트 맛집
“빚 안지고 사는게 목표였는데…”
매일 오전 6시에 가게에 도착해 12시간 넘게 일하지만 4000원짜리 커피 1잔도 팔지 못한 날이 부지기수. 매출 0원을 찍고 집으로 돌아가는 날엔 내 잘못이 아닌 줄 알면서도 자책을 하게 된다.
그렇게 시작한 고양시 카페는 디저트 맛집으로 이름을 날렸다. 월 매출 800만 원이 넘었다. 홍대로 가게를 옮긴 지 두 달 만에 매출은 200만 원 아래로 떨어졌다. 사회적 거리 두기 2.5단계 이후 하루 매출은 1만 원도 안 된다. 매일 아침 아내와 둘이 새 메뉴를 개발하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홍보도 하지만 나아질 기미는 없다.
권 씨에겐 코로나 2차 재난지원금도 남의 일이었다. 6월 홍대 카페를 개업한 탓에 지원금을 받지 못했다. 앞서 고양시 카페를 접을 때도 당시 경기도가 지급한 지원금을 못 받았다. “영세 자영업자는 몇십만 원도 절실한데 요건에 안 맞아 못 받는다니 억울하죠.”
요즘 권 씨의 아침 일과는 카페 맞은편 의류회사의 출근자가 몇 명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곳 직원 180명이 단골이었는데, 재택근무를 하면서 출근자는 10명이 채 되지 않는다. “하루하루 생활비를 벌더라도 빚 안 지고 사는 게 목표였는데 물거품이 됐네요. 올해 카드 빚만 2500만 원이 생겼으니…. 코로나가 끝나면 살 만할까요? 모르겠습니다.”
최저임금에 울고 코로나에 무릎
“새벽 손님 뚝 끊겨 월매출 90만원”
6470원(2017년)→7530원(2018년)→8350원(2019년)→8590원(2020년). 최저임금 앞자리가 달라질 때마다 직원들이 한 명씩 줄었다.
최저임금이 한 해 1060원 뛴 3년 전, DVD방을 운영하는 김모 씨(43)는 종업원 4명 중 1명을 처음으로 내보냈다. 시급을 챙겨주지 못할 게 뻔했다. 그렇게 해마다 직원 1명씩을 내보내 올해 3월, 그는 혼자가 됐다. 김 씨의 근무시간은 하루 5시간에서 14시간으로 늘었다.
DVD방을 떠난 건 직원들만이 아니었다. 이곳을 찾던 단골손님도 점차 사라졌다. 원래는 일을 끝낸 근처 술집 알바생들이 첫차를 기다리며 김 씨의 DVD방에서 쪽잠을 잤고, 식당 주방 아주머니들이 출근 전 햄버거를 사들고 와 시간을 때웠었다. 그들은 이제 오지 않는다. 주변 사장들도 김 씨처럼 최저임금을 감당하지 못하고 알바생과 주방 아주머니들을 내보낸 탓이다. “나 살겠다고 식구처럼 지내던 직원을 자른 자영업자가 한둘이 아니었던 거죠.”
새벽 첫차를 기다리던 단골손님이 사라진 뒤 DVD방 문 닫는 시간은 오전 5시에서 오전 2시로 당겨졌다. 3년 전 1000만 원을 넘던 월 매출은 지난해엔 600만 원, 지난달엔 90만 원으로 쪼그라들었다.
▼“집팔아 버텼는데… 노래방 시작한 내가 죄인”▼
‘직업이 사장님’ 70대 베테랑의 후회
“월세 330만원… 언제 문열어 빚갚나”
열흘 넘게 문 닫은 노래방엔 먼지가 뽀얗게 앉았다. 8월부터 두 달 가까이 열지 못했던 노래방은 이달 8일, 두 번째 영업정지를 맞았다. “노래방을 시작한 내가 죄인이지.”
안모 씨(71)는 1977년 인쇄소를 시작으로 문방구, 백반식당까지 40년 넘게 ‘사장님’으로 불린 베테랑 자영업자다. 직장인 사이에서 입소문을 탔던 식당 덕에 서울 마포구에 어엿한 아파트도 한 채 마련했다.
주변에서 성공했다고 부러워하던 자영업자의 삶은 15년 전 홍대 부근에 노래방을 차린 뒤부터 차츰 무너져 갔다. 노래방이 자리를 잡고 장사가 될 만하면 건물 주인이 나가라고 했다. 그렇게 쫓겨나기를 벌써 4차례. 상권 권리금이 뛰면서 노래방은 대로변에서 뒷골목으로 점점 밀려났다. 결국 3년 전 마포 아파트를 팔아야 했다.
1년 전 1500만 원을 웃돌던 월 매출은 올봄 700만 원으로 줄었다가 지금은 말 그대로 0원이다. 장사를 못 해도 매달 내야 하는 월세 330만 원 때문에 빚은 4000만 원으로 불었다.
“그래도 나는 40년 넘게 사장님 소리나 들었지, 요즘 젊은이들 보면 더 딱해.” 4, 5년 전 홍대 골목에 사람이 넘쳐날 때만 해도 아르바이트생 구하기는 ‘하늘의 별 따기’였다. 안 씨도 최저임금에 시급 1000원을 더 얹어주고 겨우 알바생을 뽑았다.
하지만 몇 년 새 최저임금이 급격히 오르면서 딴판이 됐다. 학생들이 먼저 찾아와 알바 자리 없냐고 묻지만 그들을 고용할 여력이 없다. “자영업 평생 이런 적은 처음이야. 경기가 좋으면 알아서들 월급 더 주거든. 정부가 개입하니까 이 꼴이 나는 거야.”
알바생을 줄이고 직접 일하는 시간이 늘면서 인공관절을 삽입한 그의 무릎은 점점 나빠지고 있다. 이제 그만 쉬고도 싶지만 노후에 모아놓은 돈이 변변찮아 노래방을 접을 수 없다. 손님 없는 노래방을 찾아 켜켜이 쌓여가는 먼지를 닦을 뿐이다.
○ 특별취재팀
▽ 팀장 정임수 경제부 차장 imsoo@donga.com
▽ 조응형 김소영 박종민 김태언(이상 사회부) 주애진
구특교(이상 경제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