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의 ‘1가구 1주택’ 법안 발의에 민심이 들끓고 있다. 주거 안정이라는 정책 목표와도 맞지 않고, 부동산 시장에 대한 이해도 보이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동아일보DB
이새샘 산업2부 기자
주거기본법의 제1조는 이 법의 목적을 “국민의 주거 안정과 주거 수준의 향상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기본 원칙으로도 ‘국민의 주거비가 부담 가능한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할 것’ ‘양질의 주택 건설을 촉진하고, 임대주택 공급을 확대할 것’ 등 주로 주거 복지, 주거권 보장을 위한 조항을 제시하고 있다.
이렇듯 부동산정책의 목표는 다주택자를 규제하는 것이 아니라 주거 안정을 이루는 것이어야 한다. 다주택자를 규제한다고 곧 주거 안정이 되지 않는다. 전월세시장이 대표적이다. 보증금 1억 원짜리 원룸을 여러 채 갖고 주택임대차보호법을 지켜가며 임대수익을 얻는 다주택자와, 강남에서 20억 원짜리 집을 갖고 사는 사람 중 누가 정말로 서민들의 주거 안정에 기여하고 있는지 따져보면 쉽게 답이 나온다. 그런데 ‘1가구 1주택’ 법안은 단순하지 않은 부동산 시장의 문제를 너무 단순화해 버린다. 모두가 집 한 채씩 가지면 주거가 안정되고, 다주택자는 무조건 투기를 위해 집을 산 것처럼 취급하는 것이다.
백 번 양보해 이번 법안이 ‘선언적 의미’에 그칠 뿐이라 하더라도 그건 그대로 또 문제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이번 법안에 대한 의견을 부탁하자 “논할 가치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 “실현 불가능한 목표를 제시하는 법안이라 진지하게 발의했다고 생각하기 어렵다”고도 했다. 발의된 법안을 보고 또 한 번 정부와 여당의 정책을 신뢰하지 못하게 된 국민들의 실망감은 누가 책임질 것인가. 진짜 주거 안정을 이루고 싶다면 ‘1가구 1주택’ 법안 발의로 시장을 들쑤시는 것 외에도 할 일이 많다.
이새샘 산업2부 기자 iamsa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