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서울시내 한 전통시장을 찾은 시민들이 상점을 둘러보고 있다. 2020.12.27 © News1
우리나라 소상공인들은 평균 1억200만원을 들여 10개월 가량 준비 기간을 거쳐 창업하고, 연간 3300만원의 이익을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매출은 제자리걸음을 하고 영업이익은 줄어든 반면 보증금과 월세는 4% 이상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소상공인들이 임대료 부담을 호소하는 이유다.
중소벤처기업부와 통계청은 소상공인 실태와 경영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올해 7~8월 전국 11개 주요 업종의 소상공인 4만개 사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9년 기준 소상공인 실태조사’ 잠정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11개 주요 업종의 소상공인 사업체는 전년대비 1.1% 증가한 277만개, 종사자 수는 644만명(1.9%↑)으로 집계됐다. 업종별 비중은 도·소매업이 89만개로 가장 많았고, 숙박·음식점업(66만개), 제조업(36만개) 등이 뒤를 이었다.
대표자 연령은 50대(34.2%)가 가장 많았고, 이어 40대(26.7%), 60대 이상(23.8%), 30대(12.8%), 20대 이하(2.6%) 순이었다.
여성이 대표자인 사업체는 128만개로 전체의 46.2%를 차지했다. 여성 대표자 비중이 높은 업종은 숙박·음식점업(64.4%), 교육서비스업(60.4%), 수리·기타서비스업(57.5%) 등이었다.
창업 과정에는 평균 10.2개월이 걸렸고, 창업자의 58.6%는 준비 기간이 1년 미만이었다.
창업 동기로는 Δ자신만의 사업을 경영하고 싶어서(58.4%) Δ수입이 더 많을 것 같아서(33.3%) Δ취업이 어려워서(5.8%) 순이었다. 지난해에 비해 수입이 더 많을 것 같아서의 응답 비율은 2.2%p 증가했으며 취업이 어려워서와 자신만의 사업을 직접 경영하고 싶어서는 각각 2.0%p, 0.3%p 감소했다.
제조업(5300만원)과 도·소매업(4000만원)은 연간 영업이익이 평균치를 웃돌았지만 숙박·음식점업(2900만원), 교육서비스업(2200만원), 수리·기타서비스업(1500만원) 등은 평균에 못 미쳤다.
사업장을 직접 소유한 소상공인은 20.7%(0.5%p↓)에 그쳤고, 나머지 79.3%(0.5%p↑)는 임차 사업장을 운영했다. 임차 사업장의 평균 보증금은 2298만원(4.4%p↑), 월세는 127만원(4.2%p↑)으로 나타났다.
소상공인들은 경영상 어려움으로 Δ상권쇠퇴(45.1%) Δ경쟁 심화(42.2%) Δ원재료비(26.6%) Δ최저임금(18.3%) Δ임대료(18.3%) 등을 꼽았다.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책으로는 Δ자금지원(71.4%) Δ세제지원(55.1%) Δ판로지원(19.1%) Δ인력지원(12.9%) 등 답변이 많았다.
또한 내년도에 실시하는 2020년 기준 소상공인 실태조사에는 조사항목 설계시 올해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영향과 가속화되는 디지털화, 비대면·온라인 추세를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