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1학년은 코로나 직격탄을 맞았다. 한 공립 초등학교 1학년은 입학식도 못 한 채 홀수 반 짝수 반, 그것도 홀수 번 짝수 번으로 나뉘어 등교하느라 1학기엔 고작 열흘 남짓, 2학기엔 한 달 반 정도 등교를 했다. 학교에서 내내 마스크를 쓰고 옆자리 친구와 대화도 하면 안 됐다. 마스크 교육을 하도 잘 받아 친구네 놀러 가서도 마스크를 절대 벗지 않는다는 아이, 선생님 몰래 화장실에서 친구들과 몇 마디 나눴다고 기뻐하는 아이…. 코로나 학교 풍경이었다.
▷코로나 직후부터 발 빠르게 줌 수업을 한 학교와 교사도 있지만, 디지털 습득 수준이 낮은 교사들은 2학기가 돼서야 줌을 활용했다. 줌은 각 교사의 수업 역량을 낱낱이 드러내며 학력 격차를 초래했다. 서울시교육청이 지난해 7월 서울시내 교사 131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에 따르면 교사 10명 중 8.4명이 “원격수업으로 학력 격차가 벌어졌다”고 응답했다. 10명 중 9명은 “대면수업이 (원격보다) 낫다”고 했다. 준비가 전혀 안 됐다는 얘기다. 아이의 줌 수업을 돌봐주지 못하는 맞벌이 부모들의 마음은 까맣게 탄다.
▷학교는 달라지고 있다. 줌 세대가 배우는 방식, 세상과 연결돼 소통하는 방식도 빠르게 바뀌고 있다. 위기를 기회 삼아 이참에 학교를 다시 들여다보고 교육의 체질을 바꾸어야 한다. 교사는 지루한 강의를 잊어라. 학생들이 자기주도형으로 즐겁게 참여하는 수업 방식, 창의력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방식을 찾아라. 코로나는 배움과 학교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학교와 교사를 무한경쟁의 시대로 이끌었다. 열린 공교육의 판도라 상자 속엔 희망이 남아 있다.
김선미 논설위원 kimsunm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