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캐터랩이 개발한 인공지능(AI) 챗봇 ‘이루다’. (이루다 홈페이지 갈무리) © 뉴스1
최근 인공지능(AI) 챗봇 ‘이루다’를 중심으로 한 여러 윤리적 논란이 터져나온 가운데 방송통신위원회는 AI서비스가 활용되는 과정에서 ‘사람중심의 AI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AI 윤리규범’을 구체화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14일 방통위는 “근래 AI 채팅로봇의 혐오·차별적인 표현, AI 채팅로봇에 대한 이용자의 성희롱성 발언 등이 사회적으로 큰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며 “이와 관련해 사업자·이용자·정부 등 지능정보사회 구성원 모두가 AI윤리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각자가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방통위는 올해부터 이용자에게 ‘AI서비스의 비판적 이해와 주체적 활용’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교육 내용으로는 이용자가 AI서비스에 활용된 알고리즘의 편향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문제를 최소화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방안 등이 담긴다.
방통위는 AI서비스의 이용자보호를 위해 규범 및 제도 또한 구체화해 나간다.
방통위는 2019년 11월 차별금지, 인간존엄성 보호 등의 내용을 포함한 ‘이용자 중심의 지능정보사회를 위한 원칙’을 발표한 바 있다. 해당 원칙이 선언적 규정이라면 올해부터는 이를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 사례 및 방법 등을 사업자 등과 공유한다는 것이다.
사업자의 규제부담 및 AI서비스의 혁신 저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민간에서 현재 실천하고 있는 모범사례를 적극적으로 발굴해 이를 바탕으로 실행지침을 마련할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이용자에게 피해를 야기한 AI서비스의 책임소재 및 권리구제 절차 등이 포괄될 수 있도록 기존의 법 체계를 정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한상혁 방통위원장은 “AI서비스는 더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생활의 편의를 더해줄 것이지만 올바른 윤리와 규범이 없는 AI서비스는 이용자 차별과 사회 갈등을 초래할 수 있다”며 “AI기술의 혜택은 골고루 누리되 부작용은 최소화할 수 있도록 사람중심의 AI를 위한 정책을 촘촘히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