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산산채전문점’의 산채정식. 임선영 씨 제공
임선영 음식작가·‘셰프의 맛집’ 저자
이곳의 슬라이드 문을 열면 원목 산장 같은 내부가 보인다. 안으로 발을 들이는 순간 청정 산자락으로의 공간 이동이 시작됐다. 살뜰하게 미소 짓는 여사장님은 이 공간에서 30년간 산채 전문점을 운영했다. 원목 탁자에 자리를 잡고 앉아 산채 정식을 주문했다. 정말 서울에서도 제대로 된 산채 정식을 먹을 수 있을까? 여전히 의문을 지닌 채 음식이 나오기를 기다리는 시간, 퍼져오는 솥밥 내음이 마음의 빗장을 누그러뜨렸다.
“따뜻할 때 드세요.” 이 말과 함께 반찬 7가지가 상에 올려졌다. 녹두전과 호박전, 감자전과 김치전, 두부부침과 황태조림, 그리고 도토리묵 무침. ‘그럼 그렇지.’ 나의 의심은 합리적이었다고 고개를 끄덕였다. 서울에서 산채를 기대한 자신을 탓하며 일단 나온 반찬에 집중하기로 했다. 아담하고 정갈한 호박전과 녹두전은 금방 부쳐낸 따스함이 있고, 통감자를 갈아 만든 감자전은 겉은 바삭하고 속은 쫄깃했다. 도토리묵 무침은 새콤 달콤 매콤한 양념장이 일품인데 몇 번을 집어 먹어도 입에 자극적이지 않고 오히려 속이 편안해졌다. 직접 담근 매실액이 양념장의 일등 공신이었다. 하나하나 맛보면서 만족감으로 빠져 들어갈 즈음, 사장님이 웃으면서 다가오셨다. “이 반찬, 그냥 북어가 아니라 강원도에서 제대로 만든 황태예요. 황태조림 따뜻할 때 맛있게 드세요.” 그래서 알 수 있었다. 이 집은 식재료 하나 허투루 쓰지 않으며 손님이 먹기 가장 알맞은 온도로 음식을 내온다는 것을.
그러고 나서 흑미와 콩, 은행을 올린 솥밥과 집된장으로 자박자박 애호박과 두부를 넣고 끓인 된장찌개가 나온다. 된장찌개 두 숟가락을 넣고 나물을 넣어 쓱쓱 비벼 먹다가 입가심으로 솥밥 누룽지에 물을 부어 숭늉을 훌훌 마셨다. 산에서 맑은 정기를 흠뻑 마신 것처럼 든든하되 몸이 가벼워지는 식사였다.
임선영 음식작가·‘셰프의 맛집’ 저자 nalgea@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