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이 시행 도시정비 첫 모델 민간분양 960채 등 2410채 건설 기존 주민, 月3만원대 월세 입주
국토교통부와 서울시, 용산구는 5일 이런 내용을 담은 ‘서울역 쪽방촌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공공주택 및 도시재생사업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서울 용산구 동자동 쪽방촌 일대 4만7000m² 규모 땅에 공공주택 1450채, 민간분양 960채 등 주택 2410채를 지을 예정이다. 서울시는 건물 층수를 최대 40층까지 허용하기로 했다.
이 일대는 1960년대부터 쪽방촌이 형성돼 현재 약 1000명(서울시 집계)이 거주하는 국내 최대 규모 쪽방촌이다. 이곳은 서울역 인근인 데다 남산과 가까워 입지가 좋지만 쪽방촌 주민의 이주 문제 등으로 개발이 지연돼 왔다.
정부 관계자는 “사업이 완료되면 현재 1.65∼6.6m²의 비좁은 공간에서 평균 월세 24만4000원을 내며 살고 있던 쪽방 주민들이 18m²의 공간에서 월 3만7000원 수준(보증금 평균 183만 원. 추후 변동 가능)의 월세를 부담할 것으로 본다”고 했다.
이새샘 기자 iamsa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