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적 51명 중 24명이 6일새 발생… 전파력 강해 지역 확산 위험 커 당국 “해외서 우세종으로 번져”… 해외 유입 확진자 195일만에 최다 외신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남아공 변이에 효과 제한적”
○ 변이 바이러스 6일 만에 24명 늘어
7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최근 해외 유입 코로나19 확진자 56명의 검체를 분석한 결과 12명이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10명이 영국 변이, 2명이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 변이 바이러스였다.
현재까지 국내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 51명 가운데 영국 변이는 37명, 남아공과 브라질 변이가 각각 9명과 5명이다. 지난해 12월 28일 3명의 변이 바이러스 감염이 처음 확인된 이후 1월 한 달간 22명이 추가됐다. 그런데 2월 들어 단 6일간 24명이 새로 발생한 것이다.
변이 바이러스는 전파력이 기존 바이러스에 비해 약 1.5배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단 퍼지기 시작하면 해당 국가에서 신규 감염의 다수를 점하는 ‘우세종’이 될 가능성이 높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7일 브리핑에서 “해외에서 변이 바이러스가 점점 빠르게 확산되면서 우세종으로 올라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변이 바이러스가 국내에서 4차 유행과 연계되면 감염자 수가 큰 폭으로 늘어날 것”이라며 “3, 4월에 다시 대유행이 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최재욱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적어도 3가지 변이 바이러스가 모두 발견된 국가는 1, 2개월 정도 입국을 제한해야 한다”고 말했다.
○ 변이 바이러스에 백신 효과 ‘불확실’
이달 중 국내에서도 백신 접종이 시작된다. 하지만 백신이 변이 바이러스 감염까지 차단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6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임상시험 결과 영국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남아공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들의 경증과 중등증 발현을 막지 못했다. 다만 연구진은 “영국 변이에는 효과를 나타냈다”고 했다.
아스트라제네카뿐 아니라 지금까지 개발된 다른 코로나19 백신은 남아공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 효과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더나 백신은 남아공 변이에 대한 중화항체 생성이 기존 바이러스의 6분의 1 수준에 그쳤다. 노바백스와 얀센 백신도 예방 효과가 각각 60%, 57%로 기존 바이러스 예방 효과(90% 안팎)에 비해 낮았다. 남아공 게놈조사네트워크 책임자인 툴리우 지올리베이라 교수는 파이낸셜타임스에 “변이에 대한 백신 효과가 떨어진다는 것은 전 세계에 대한 경고”라고 말했다.
이지운 easy@donga.com·김소민 기자 / 파리=김윤종 특파원